
[시사투데이 김수지 기자] 인구의 고령화로 치매환자는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치매로 인한 의료비는 환자의 증가 수준보다 더욱 빠르게 늘고 있다. 65세 이상 11명 중 1명이 걸릴 정도로 노인에게 흔한 질병인 치매는 개인의 품위를 유지할 수 없을 수준으로 인격이 황폐화되고 독립적인 일상생활이 어려워 가정에도 부담이 큰 질환이다.
< 치매노인의 증가 추이 및 전망 >
(단위 : 천 명)
연도 구분 |
‘08년 |
‘10년 |
‘11년 |
‘20년 |
‘30년 |
‘40년 |
‘50년 |
65세 이상 인구 수 |
5,016 |
5,357 |
5,357 |
7,701 |
11,811 |
15,041 |
16,156 |
65세 이상 치매노인 수 |
421 |
469 |
495 |
750 |
1,135 |
1,685 |
2,127 |
치매 유병률(%) |
8.4 |
8.8 |
8.9 |
9.7 |
9.6 |
11.2 |
13.2 |
보건복지부는 지난 6월 29일 국회 전체회의에서 의결된 ‘치매관리법’이 7월 26일 국무회의를 통과해 8월 4일 공포된다고 밝혔다. 시행일은 2012년 2월 5일이다.
치매관리법은 치매의 예방 및 치매관리 정책을 종합적으로 수립․시행해 치매로 인한 개인적 고통과 피해, 사회적 부담을 경감시키고 국민건강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정됐다. 이에 따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치매관리에 관한 사업을 시행하고 지원함으로써 치매를 예방하고 치매환자에게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치매관리법 제정으로 새로이 탄생하게 되는 ‘중앙치매센터’는 종합병원 중에 지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치매연구사업 계획 수립, 치매환자 진료, 치매전문 교육․훈련, 치매 관련 통계 수집․분석 등 법률로 정한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중앙치매센터는 내년 상반기에 지정할 계획이며 지정의 기준․방법․절차 등에 관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2008년 9월 ‘치매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치매문제에 대응하는 적극적 의지를 밝힌 바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제 본격적인 치매와의 전쟁이 시작될 것이다. 치매환자와 가족을 위한 체감도 높은 정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