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희숙 기자] 전자제품에 대한 에너지 소비효율 기준이 강화된다. 지식경제부는 제품성능 경쟁을 가속화하고 서민들의 전기요금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에너지 효율 1등급 판정기준을 높일 예정이다. 이와 함께 에너지 효율정보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비교사이트(가칭 ‘효율바다)를 개설하고 난방용 전열기와 시스템 에어컨의 효율관리를 강화하는 ’전자제품 에너지 효율향상 종합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첫째, 주요 가전제품의 1등급 비율을 50%대에서 10%내외로 축소한다. 냉장고, 전기 냉난방기(1등급 61%)는 올 11월까지 관련규정을 개정하고 내년부터 강화된 기준을 적용한다. 가정 전력소비의 17%를 차지하고 있는 TV는 내년 7월부터 효율등급제 대상에 편입된다.
둘째, 가전업계가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효율기준을 맞추기 위한 단기 기술개발 방식에서 탈피해 세계시장을 겨냥한 미래지향적 투자와 중장기적 시각에서의 기술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정부는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중장기 효율목표를 부여하고, 목표를 달성한 업체에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에너지 프론티어(Energy Frontier)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다.
셋째, 올 연말까지 주요 가전제품과 자동차에 대한 에너지 효율등급, 연간 에너지비용 정보를 제공하는 전용 사이트가 개설된다. 정부는 1만 3천여 품목의 가전제품, 승용차에 대한 에너지소비 효율등급과 연간 에너지 비용정보를 유사 상품군별로 분류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민간에 공개함으로써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을 유도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내년부터 서민, 소상공인들이 주로 구매하는 전기온풍기, 스토브에 대해 최저소비 효율기준이 적용돼 저효율 제품판매가 금지된다.
지경부 관계자는 “전자제품 에너지 효율향상 종합대책을 통해 2020년까지 1조 5천억원 이상의 에너지 비용 절감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며 “앞으로 산업부문은 물론 교육분야와 종합병원에 대한 에너지 효율향상 대책을 수립하는 등 경제전반의 걸쳐 에너지 효율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