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양영구 기자] 환경부는 예년보다 적은 강수량, 높은 기온 등 기후변화로 인해 올해 11월초부터 북한강 수계에 조류(藻類)가 이상 번식했고 이로 인해 11월 23일부터 12월 7일까지 팔당 취수장에서 냄새 원인 물질인 지오스민(Geosmin) 농도가 45~270ppt까지 높게 검출됐다고 밝혔다.
지오스민은 남조류(藍藻類)의 일종인 아나베나(Anabeana)의 대사과정에서 발생되는데, 수돗물에 흙냄새를 유발하는 원인물질이다. 지오스민은 인체 위해성은 없으며, 100℃에서 3분 정도 끓이면 쉽게 제거된다.
이로 인해 지난달 14일부터 경기도 남양주시와 앙평군 지역에서 수돗물 냄새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기 시작했고 이후 북한강 수계에서 용수공급을 받는 수도권에서 1,586건의 수돗물 냄새민원이 산발적으로 발생하다 감소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북한강 수계에 동절기에 조류가 이상 증식한 것은 예년에는 발생되지 않았던 특이한 현상이다. 과거 팔당호지역의 지오스민 발생현황을 보면 여름철인 6월에서 8월 사이에 일시적으로 발생됐으나 이번처럼 동절기에 집중적으로 발생된 것은 처음이다.
환경부는 동절기에 조류가 과다 발생된 것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로 인한 기온 상승, 강수량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된 것으로 보고 있다. 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11월 이상고온으로 기상관측망이 설치된 1973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해 11월 평균기온이 지난해 11월 대비 3.9℃ 높았고, 최근 30년 대비 3.4℃ 높았다. 이로 인해 11월 수온도 작년에 비해 약 3.4℃ 높았고, 12월 현재까지 수온이 8℃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정수장에서 지오스민 등 냄새물질을 원활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설치해야 하나, 현재 수도권 37개 정수장 중 고도처리시설을 설치한 정수장은 2개소(영등포, 시흥)에 불과(11개 공사 중)하여 현재 냄새 제거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환경부는 최근 강우량이 늘고 기온이 낮아지고 있어, 팔당취수장에서의 지오스민 농도는 점차 낮아질 것이며 예상하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앞으로 댐 방류량 증가, 지속적인 모니터링, 기관간 공조체계 유지로 조류 발생상황을 관리하는 한편 정수장 운영기관으로 하여금 염소투입 변경, 분말 활성탄 투입 등을 통해 수돗물 냄새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할 것이다”며 “장기적으로는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를 확대해 조류 발생으로 인한 냄새문제를 근원적으로 대처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