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인천항을 떠나 충남 서산의 대산항으로 가던 유류운반선 4천톤급 두라3호(선장.안상원57)가 15일 오전 8시경 인천 자월도 북방 3마일 해상에서 폭발이 발생해 선체가 두동강 나는 사고가 발생해 5명이 숨지고 6명이 실종됐다.
이날 폭발과 동시에 선수와 선미가 심하게 휘어졌고 선체 중앙은 푹 파인 상태였으며 항해사 이종완(22)씨와 미얀마 선원 뗏나잉원(38), 묘민자우(32)씨 등 모두 5명이 숨지고 1등 항해사 유준태(52)씨 등 6명이 실종됐다.
이 배는 인천항을 떠나 충남 서산의 대산항으로 가던 중이었으며 한국인 선원 11명과 미얀마 선원 5명 등 모두 16명이 타고 있었다.
선장 안씨 등 5명은 사고 직후 출동한 해경 경비정에 구조됐으나 실종자가 많아 사망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사망자 시신은 인천 남구 숭의동에 있는 성인천한방병원 장례식장에 안치됐다.
사고 선박에는 벙커C유 80t과 경유 40t이 적재돼 있으나 선미에 있는 유류탱크가 훼손되지 않아 기름 유출은 발생하지 않았다.해경은 선박의 침몰에 대비해 선수와 선미에 부이를 설치하고, 기관실과 갑판의 에어벤트(공기배출구)를 폐쇄했다. 또 유류바지선을 현장에 투입해 배에 남아있는 기름을 옮기는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두라3호는 대산항에서 선적한 휘발유 6천500t을 인천 남항에 있는 SK부두에 하역한 뒤 이날 오전 6시30분 인천항을 떠나 대산항으로 돌아가던 중 굉음과 함께 폭발을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
해경은 "외부와 충돌이 없었고, 선상(갑판)에서 유류탱크 내 청소 등의 작업을 하던 중 갑자기 폭발이 일어났다"는 생존 선원들의 진술과 사망자들의 시신이 심하게 훼손된 점 등으로 미뤄 선체결함 등 내부요인에 의한 폭발사고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국과수에 정밀감정을 의뢰할 방침이다.
또한 해경은 선장 안상원씨를 비롯해 구조된 선원들을 상대로 정확한 폭발 사고 경위를 조사할 예정이며 주변 해역에 방제 작업도 실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