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장수진 기자] 환경부는 2011년에 실시한 ’전국 TMS부착 사업장 측정기기 전수조사‘ 결과, 전체 굴뚝TMS(Tele-Monitoring System) 측정기기의 47.3%가 아날로그 전용방식으로 디지털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8일 발표했다.
굴뚝TMS는 사업장 굴뚝으로 나오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농도를 자동측정기기로 상시 측정하고 이를 관제센터의 주컴퓨터와 온라인으로 연결해 오염물질 배출상황을 24시간 상시 관리하는 체계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8월말 기준 전국 542개 사업장 1,393개 굴뚝에 7,557개의 측정기기를 부착해 7개 오염물질 항목(먼지, 이산화황(SO2), 질소산화물(NOX), 염화수소(HCl), 암모니아(NH3), 불화수소(HF), 일산화탄소(CO))과 3개 보정항목(온도, 유량, O2)을 측정하고 있다. 전체 측정기기 중 아날로그 전용방식은 47.3%(3,571개), 아날로그·디지털 겸용방식은 52.7%(3,986개)다.
기업규모별 굴뚝자동측정기기 운영현황은 대기업 56.2%(4,245개), 중소기업 25.3%(1,913개), 공공기관 18.5%(1,399개) 순이다. 주로 대기업에서 정보기술(IT) 등을 이용한 대기오염배출량 관리 선진화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먼지 등 7개 오염물질항목(보정항목 제외) 측정기기 중 SO2, NOx, NH3, HF, CO 측정기기의 경우는 국산제품을 부착한 사업장이 전무한 것으로 밝혀졌다. 먼지와 HCl 측정기기의 경우에만 일부 사업장에 설치돼 있는 실정이다. 제조국 별로 살펴보면 독일 56.2%로 가장 많고 일본 17.8%, 프랑스 11.4%이며 국산은 9.1%에 불과하다.
환경부 관계자는 “아날로그 방식은 다룰 수 있는 정보의 양이나 속도 등 미흡한 점이 많고 통신방식도 디지털로 전환되고 있어 디지털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며 “환경부는 측정기기의 디지털화를 위해 중소기업에 대해 연차적으로 정부보조를 지급하는 등 빠른 시일 내에 교체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