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고용정보원은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우리나라의 759개 직업 현직 종사자 2만 6,1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재직자 조사 결과, 초등학교 교장 직업이 사회적 평판, 정년보장, 발전가능성, 시간적 여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 사회적 기여도 ▲ 직업의 지속성 ▲ 발전 가능성 ▲ 업무환경과 시간적 여유 ▲ 직무만족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현재 몸담고 있는 직업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를 해당 직업 종사자들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개념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직업 20개 가운데 초등학교 교장, 대학교수, 특수학교 교사 등 교육 분야 직업이 5개로 가장 많았고, 문화예술 분야에서 작곡가, 국악인 등 4개의 직업이 상위 20개에 들었다. 또한 만족도 상위 20위 안에는 상담전문가, 놀이치료사, 웃음치료사 같은 행동․심리 컨설팅 분야 직업과 성우, 아나운서처럼 방송 분야의 직업들도 포함됐다.
해당 직업에서 하는 일이 사회에 기여하고 타인의 인정을 받는지에 대한 인식을 묻는 사회적 기여도 항목에서는 도선사, 장학사, 신부 순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들어도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는 직업의 지속성 항목에서는 시인, 작곡가, 한의사 등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여성 직업인의 만족도가 남성보다 다소 높았으며 근무하는 기업체의 규모가 크고, 임금수준이 높을수록 해당 직업에서 요구하는 학력 수준이 높으면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이번에 조사한 759개 직업의 만족도는 워크넷의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work.go.kr)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