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가 27일 고농축우라늄(HEU)과 플루토늄의 제거 및 최소화 계획을 담은 '서울 코뮈니케'(공식성명)를 만장일치로 채택하고 폐막했다.
53개국 정상 및 4개 국제기구 대표들은 이날 채택한 서울 코뮈니케에서 "HEU 연료 사용 원자로에서 저농축우라늄(LEU) 연료 사용 원자로의 전환 등 참가국들이 HEU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발적인 구체적 조치를 2013년 말까지 발표할 것을 장려한다"고 밝혔다.
우라늄은 농축 정도가 높을수록 핵무기 전환이 쉬워진다. 이는 핵무기 원료인 핵물질을 제거해 나감으로써 핵 테러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통해 '서울 코뮈니케'를 발표했으며 "이제 우리는 '핵 테러 없는, 보다 더 안전하고 평화로운 세상'을 만드는 데 새로운 이정표를 만들었다"면서 "이번 서울 정상회의에서 워싱턴 정상회의에서 결집된 정치적 의지와 비전을 현실로 옮기는 데 큰 걸음을 내디뎠다"고 평가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 고농축우라늄(HEU) 반납 및 제거와 2013년말까지 HEU 이용 최소화 계획 자발적 발표 ▲ 핵안보 관련 국제협약 가입 ▲ 2014년까지 개정 핵물질방호협약 발효 추진 ▲핵안보교육훈련센터 설립 등 코뮈니케는핵과 방사능테러 막기 위해 각국이 취해야 할 실질적인 조치들이 담겨있다.
또한 핵물질 및 원자력 시설에 대한 방호 및 불법거래 대응 문제 뿐만 아니라 ▲ 원자력 안전과 핵안보간 상호관계 ▲ 방사성 물질의 방호 등에 대해서도 새롭게 논의했으며, 핵안보 이슈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을 통해 핵안보 관련 국제논의의 지평을 확대했다.
이 대통령은 또 "서울 정상회의에서 핵테러 위험을 감소시킬 실제적 조치들이 이뤄졌고 이행할 약속들이 제시됐다. 지난 이틀 동안 각국 정상들은 머리를 맞대고 핵테러 위협성과 핵안보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인식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이런 정상수준의 정치적 공감대와 의지는 국제적 협조와 개별 국가의 국내조치들로 구체화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참가국 대표들은 핵 테러가 국제 안보에 가장 도전적인 위협이지만 국제법 체계가 확립되지 않았음을 지적하면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개정 핵물질방호협약(CPPNM)이 오는 2014년 발효될 수 있게 노력하자고 뜻을 모았다. 서울 코뮈니케는 전문과 모두 13개 항으로 구성돼 있다. 3차 핵안보정상회의는 오는 2014년 네덜란드에서 열린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