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제64주년 제주4ㆍ3사건 희생자 위령제가 3일 오전 11시 제주시 봉개동 4.3평화공원에서 열렸다.
제주4ㆍ3평화재단은 위령제봉행집행위원회(위원장 장정언 제주4ㆍ3평화재단 이사장)가 주관하는 위령제는 국민의례를 시작으로 헌화와 분향, 장정언 봉행집행위원장의 고유문 낭독, 우근민 제주지사의 주제사, 문대림 제주도의회 의장의 추모사, 김황식 국무총리의 추도사, 추모시 낭송 등의 순으로 진행됐으며 유족 5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엄숙하게 봉행됐다.
김황식 총리는 추도사를 통해 "4·3사건으로 희생되신 분들의 영전에 머리 숙여 애도의 뜻을 표한다"며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었다.정부는 앞으로도 4.3사건으로 희생되신 분들을 기리고 유가족을 위로하는 일에 정성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또 추모사업과 관련"4.3 사건은 우리 국민들로 하여금 평화와 인권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하는 '비극적인 교훈'으로, 우리는 역사가 주는 이 교훈을 잊어서는 안된다"며 "그런 점에서 앞으로 이곳 평화공원에 '교육센터'와 '고난극복 전시관'이 세워지고 '4.3 평화의 종'이 설치되고 나면 이곳은 평화와 인권을 위한 '살아 있는 교육장'으로 활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애초 위령제는 4ㆍ3평화공원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비가 내리고 강풍이 불어 천막과 의자가 바람에 날리고 파손되는 등 불상사가 발생하자 4ㆍ3평화기념관 대강당으로 행사장을 변경했다.
그러나 대강당의 위령제단 공간이 좁아 주요 인사를 제외한 유족 등 대다수 참가자가 헌화ㆍ분향에 참여하지 못했고 특히 위령제 행사를 중계하기 위해 기념관 로비에 설치한 영상 모니터마저 소리가 들리지 않아 유족 등이 4ㆍ3평화재단 측에 항의하기도 했다.
평화재단은 분향대 향로를 종전 16개에서 24개로 늘리고, 동사무소마다 행사장을 오가는 셔틀버스를 배치해 참배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했다.
이날 제주시 구좌읍 행원리,동회천 등에서도 희생자 위령제가, 관음사에서는 4ㆍ3 원혼 천도 대제가 열렸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