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세리 기자] 보건복지부는 제 40회 보건의 날을 맞이해 지나친 음주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각종 만성질환, 암 발생 예방을 위한 ‘건전 음주’를 당부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성인 월간음주율은 2005년 54.6%에서 2010년 60.4%로 증가했고 같은 기간 고위험음주율 역시 14.9%에서 17.2%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50대 남성의 경우 고위험음주 비율이 전체 평균을 훨씬 웃도는 것으로 보고됐다.
특히 음주자는 비음주자 대비 알코올성 정신병, 심근병증, 간질환, 식도암 등의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00년 고혈압, 뇌졸중, 알코올성 심근병증 등 30개 질환이 음주와 관련 있다고 발표했다.
실제 고위험 음주 비율이 높은 연령대에서 각종 알코올성 간질환이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2010년 총 진료인원 15만 723명 중 남성이 86.5%, 40~50대가 56%를 차지했다.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은 음주와 관련 있다고 보고된 30개 질환의 총진료비가 2005년 3조 2,127억원에서 2009년 6조 1,226억원으로 증가했고 이 중 음주자에 의한 건강보험 총진료비 지출 규모는 같은 기간 866억원에서 1,688억원으로 1.95배 늘어난 것으로 추산했다.
전문가들은 지나친 음주로 인한 건강상 폐해 방지를 위해 ‘절대음주량 줄이기, ‘음주 상태 살피기’ 등의 음주수칙을 제안했다.
복지부는 전문가들이 제안한 음주수칙을 기초로 지난해부터 ‘119 절주운동’인 1가지 술로, 1차만 하고, 9시 전에 끝내는 술자리-을 전개하고 있다. 복지부 측은 “음주폐해예방의 달 캠페인, 대중매체 공익 광고 등을 통해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절주운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