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조주연 기자] 보건복지부는 장애인에 대한 완성도 높은 복지정책실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장애인 건강관리 사업을 시작한다. 장애인 건강관리 사업은 장애인의 건강실태, 만성질환 유병율,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연구 등이 포함돼 있다.
우리나라 장애인은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사고 및 재해 등의 이유로 지난해 기준 인구의 5%(252만명) 정도다. 실제 3개월 이상 계속되는 만성질환 유병율은 장애인 75.9%로 비장애인(42.7%)보다 높다.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고혈압(2.3배), 심혈관질환(6.5배), 관절염(3.1배), 당뇨(3.9배), 만성통증(16.2배)의 유병율이 높고, 비만발생율은 약 1.2~3.9배 이상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로 인해 장애인의 의료이용량이 증가해 장애인의 외래내원일수는 비장애인에 비해 1.4배, 입원일수는 4.1배, 의료비는 2.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당뇨병과 관련된 통계수치를 보면 환자수가 2009년 32만2414명에 육박하고, 당뇨 치료에 1년 동안 4,646억 여원이 지출되고 있다. 특히 장애인의 비만율은 39.5%로 비장애인의 34.7%보다 높고, 특히 고도비만율도 장애인의 경우 4.6%로 비장애인의 3.0%에 비해 높다.
이와 같이, 장애발생 후 장애인의 건강은 비장애인에 비해 훨씬 취약한데 비해 적극적인 건강관리를 위한 인프라와 기반연구의 부족으로 그간 효과적인 건강관리방안 마련이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복지부는 올해부터 장애인 건강관리 사업을 전개한다.
우선, 장애유형별 건강실태 조사 및 건강지표 모니터링 사업을 통해 장애특성에 따른 건강수준 현황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건강관리에 나선다. 또한 장애특성별 다빈도 질환과 장애로 인한 2차적 건강문제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장애인 만성질환 위험요인을 조사 연구한다. 특히 장애인 맞춤형 비만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만성질환의 증가, 고령화 등으로 장애와 더불어 살아가는 국민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장애와 건강에 관한 정책과 연구, 사업을 지속적으로 강화·발전시켜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