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2013년부터 정부 중앙부처에서 정보시스템을 새로 만들거나 교체할 때에는 클라우드 신기술이 전면 적용된다.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하면, 필요한 만큼만 IT자원을 할당하고 사용 후에 반납하는 구조로 개선되어 시스템 구축․운영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는 이 같은 내용의 '범정부 클라우드컴퓨팅 추진 정보화전략 계획'을 수립하고, 지난 30일 서필언 제1차관 주재로 결과 보고회를 개최했다.
최근 국내외 많은 기업과 해외 선진국 정부도 IT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클라우드 新기술을 주목하고 있다.
시스템 증가로 IT예산의 70%를 기존 시스템의 유지관리에 지출해야 하는 현상은 국․내외 모든 조직이 직면한 공통적인 정보 기술의 문제이다.
많은 기업이 클라우드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클라우드가 IT자원에 가상화 기술을 적용해 여러 기관이 함께 쓸 수 있도록 공유하고 필요한 양 만큼만 공급해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정부통합전산센터는 2009년부터 47개 중앙부처의 IT자원 수요를 모아 高성능서버로 통합해 공동활용하는'제1단계 정보자원 통합사업'을 추진 해 왔다.
2011년도까지 개별 서버 1,334대를 통합하여 총 1,023억원의 비용을 절감했고, 금년도에 660대 서버를 추가로 통합하면 510억원이 절감되어 2012년 말에는 중앙부처 IT자원의 구축․운영비 30%(1,533억원) 절감이 예상된다.
또한, 정부통합전산센터는 클라우드 新기술을 공공부문에 도입하기 위해 2011년부터 클라우드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클라우드 기술의 안정성․보안성․적용가능성을 검토해 왔다.
저비용․고효율의 범용서버(x86)와 공개SW를 활용해 가상서버를 제공하고 각 부처가 업무용SW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고 있다.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이러한 내용을 정리하여 2013년부터 시작될「제2단계 정보자원 통합(2013~2017)」의 정보화전략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부처별 시스템을 저비용․고효율의 클라우드 인프라로 단계적으로 전환하여, 2017년에 60%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각 부처 업무용SW의 체계적인 관리와 중소기업 개발자의 편의를 위해 모든 부처가 활용하는 응용SW 개발 및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고,
스마트 오피스, 모바일 등을 위한 공통 플랫폼을 구축하여 부처간 중복 개발을 방지하고 공동활용을 촉진 할 예정이다.
전 부처 공통사용 SW는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해 구축없이 접속만으로 사용하는 멀티테넌시(공동임차) 소프트웨어 서비스로 전환할 예정이다.
아울러, 클라우드 구축시 국산화가 가능한 범용서버를 도입하고 공개SW를 현재 20%에서 2017년 50%까지 확대 하는 등 민간 IT산업 활성화 및 중소․중견 기업 육성도 병행할 예정이다.
서필언 제1차관은“새로운 투자를 위해 기존 시스템 운영경비를 줄여나갈 것”과 “정부 클라우드 구축시 중견․중소기업이 함께 참여해 산업에 활력을 줄 수 있는 방안도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