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희숙 기자] 우리 정부는 70~80년대 토목 건설 중심의 제1차 중동붐에 이어 올해부터 에너지·IT·의료·금융을 핵심사업으로 하는 ‘제2 중동붐 개척’에 나선다. 또한 에너지·플랜트분야의 협력기반을 강화하고 중동국과 협력해 제3국 공동진출을 중점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매년 중동의 6개국 정부 및 기업인이 참석하는 ‘한·중동 GCC 경협포럼’을 상설화하고, 중장기적으로 토털 비즈니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K-플라자’를 설치하기로 했다. 또한 에너지·플랜트분야 협력을 통해 중동국과 제3국 공동진출을 중점 추진하고, 산재된 중동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중동 종합 포털’을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이에 지난해 340억 달러 규모이던 대중동 수출액을 오는 2020년에는 1천20억 달러로 끌어올리는 한편 원전·플랜트분야 투입인력도 3만명 수준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500만달러 이상의 중소중견 수출기업도 현재 390개에서 936개로 확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70∼80년대 이른바 ‘제1차 중동 붐’은 토목, 건설 등 제한된 분야에 대한 단순 노동력 제공 위주의 협력이었다. 반면 ‘제2 중동 붐’은 중동국이 고유가로 인한 오일달러 축적으로 구매력이 증가했고 에너지, IT, 의료, 금융 등의 다양한 고부가가치산업 분야에서 우리의 기술력과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로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한·중동이 전통적 에너지 계약자 관계를 넘어 우호관계를 바탕으로 중동국의 산업다각화와 재건수요를 충족시킬 최적의 롤 모델로 평가돼 중동붐 개척에 나서기로 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