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박미라 기자] 한국디자인진흥원 조사에 따르면, 올 2분기 디자인산업 경기실사지수(D-BSI)가 109.4P로 전분기 대비 28.4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실사지수는 100이상인 경우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전망한 업체가 그렇지 않을 것으로 보는 업체보다 더 많음을 나타낸다.
디자인산업의 호전 전망 이유는 수주증가가 42.7%로 나타났고, 디자인업의 계절적 성수기 18.5%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신규개발, 경기회복 기대, 디자인향상, 기타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전반의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디자인업 또한 계절적 수요위축이 풀리면서 호조세가 전망된다. 그러나 대외적으로 유로위기 등 경제 불확실성이 대두되는 상황에서 경기변동은 디자인 산업 매출과 신규개발 및 투자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각 분야별 경기전망을 주시하고 이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망 사유 |
수주 증가 |
성수기 |
신규개발 |
경기회복 |
사업확장 |
마케팅 효과 |
디자인 향상 |
기타 |
비율(%) |
42.7 |
18.5 |
12.3 |
11.8 |
6.5 |
5.9 |
4.0 |
8.5 |
**2/4분기 제조업 BIS 전망은 107로 기준치(100)보다 높아 경기회복세 예상 (산업연구원 )
전문디자인업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내수부진, 불확실한 경제상황, 경쟁심화 등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업종별로 제품/시각/인테리어/기타 전문디자인업 모두 전분기 대비 각각 31.7p, 24.6p, 28.0, 32.8p 상승했다. 제품(120.4p), 인테리어(109.8p), 기타 전문디자인업종(123.1p)에서는 호조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시각디자인업종(96.4p)만이 인쇄업계 불황에 따라 경기전망이 어두운 상태다.
매출BSI 전망은 110.1로 전분기 대비 19.9p 상승했고, 자금사정BSI도 26.7p 상승하는 등 디자인전문기업 경영에 호기로 작용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