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조주연 기자] 정부는 ‘117’ 학교폭력 신고가 활성화됨에 따라 보다 신속하고 제대로 된 처리를 위해 117 중앙센터(서울)를 18일부터 전국 시도(경기2청 포함)로 확대해 17개 광역센터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동 센터는 각 지방 경찰관과 교육과학기술부, 여성가족부에서 파견한 전문상담사가 합동으로 근무해 학교폭력 신고접수, 상담 및 수사·지원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지방청별로 운영하는 117센터는 24시간 연중 쉬는 날 없이 24시간 운영되고 경찰청·교과부·여성부 합동으로 팀을 편성해 학교폭력과 관련된 상담·수사·지원 등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학생과 학부모가 전국 어디에서나 국번 없이 ‘117’을 누르면 바로 신고자가 거주하는 지역 ‘117’ 센터로 연결돼 신고접수·상담 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117’로 신고된 사안의 경우, 117신고센터 차원의 상담은 물론 신고자가 원하는 경우 가까운 위(Wee)센터, 청소년상담지원센터(CYS-Net) 등 전문상담기관을 연결해 심층상담도 제공하고 사안의 처리결과를 해당 학교에도 통보해 학교 차원에서 학교폭력 사안처리 및 학생생활지도에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부처별로 산재돼 있던 학교폭력 신고번호를 경찰청 '117'로 일원화해 운영한 결과, 117을 통한 학교폭력 신고는 전년 동기간 보다 183배 증가했고 신고 후 조치에 대한 학생의 신뢰가 형성됨에 따라 본인에 의한 신고비율이 1월 28%에서 5월 69.8%로 급증했다.
정부 관계자는 제대로 된 ‘117’센터 운영을 위해 지난 4~5월 근무 예정자 204명에 대해 전문교육과 합동 근무를 통해 개소 이후 즉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전 준비에도 만전을 기했다. 앞으로도 상담원들에 대해 학교폭력에 대한 전문교육, 소양교육을 지속 실시해 전문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