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지식경제부는 올 상반기 자동차산업을 잠정 집계한 결과, 생산 2 백 38만 782대, 수출 1백 70만 364대로 전년동기비 각각 3.4%, 10.4% 증가했고 내수는 75만 7,353대로 전년동기비 4.2% 감소했다고 밝혔다.
상반기 수출은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전년동기비 증가세를 보였다. 미국, EU로의 수출이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한 반면, 중남미 시장으로의 수출은 다소 감소했다.
미국으로 수출증가는 미국 시장 회복세에 기인, EU 지역은 자동차 시장 축소에도 불구하고 FTA발효로 인한 가격경쟁력과 직영 판매체제 구축, 각종 마케팅 강화 등으로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중남미는 최대 시장인 브라질의 수요 감소로 인해 지역별로 유일하게 감소했다.
또한 국산차의 지속적인 품질 및 신뢰도 향상으로 평균 수출단가가 상승하며 수출액이 큰 폭으로 증가한 요인도 꼽을 수 있다. 여기에 상대적으로 가격과 연비 강점이 있는 경·소형과 SUV 차종을 중심으로 수출 전략차종의 지속적인 판매 증대와 차종 확대도 수출 호조에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상반기 내수시장은 신차효과 약화, 고유가 등으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전년 동기비 4.2%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그랜저, 모닝, 올란도 등 인기 있는 차종을 중심으로 7개 신차가 출시됐지만, 올해는 싼타페(DM), K9, 코란도스포츠 3개다.
차급별로는 경형, 중형, SUV, CDV 차량의 비중은 증가세를 기록한 반면 소형, 대형 차량은 감소세를 나타했다. 특히 고유가로 인해 상대적으로 연비가 좋은 경형, 하이브리드의 판매가 크게 늘어났다.
이외에도 다양한 차종과 모델을 앞세운 수입차가 전년 동기대비 20.5% 증가한 6만 2,239대를 기록하며 상반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판매대수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2,000cc미만의 차급에 대한 브랜드와 모델수가 각각 12개에서 16개, 84개에서 127개로 크게 증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