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지식경제부는 27일 오전에 개최된 위기관리대책회의를 통해 전력수급 안정화 및 신성장동력인 전력저장 산업 발전을 위한 종합계획인 ‘대용량 전력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보급촉진 방안’을 확정했다. 전력저장장치는 리튬이차전지와 같은 소형 이차전지를 대형화한 것으로 남는 전력을 저장해서 피크시간대 또는 정전 시 비상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력공급장치다.
정부는 이를 위해 먼저, 전력수급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수요견인형 초기 시장을 창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공공건물의 경우, 기존 건물은 전력저장장치 설치를 권고하고, 신축 건물에 대해서는 시범사업 추진 후 시행 성과를 보면서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둘째, 수요견인형 전력저장장치의 초기 시장창출을 위해 보극촉진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한다. 초기 투자비용 경감을 위해 전력저장장치를 에너지절약시설 융자사업 지원대상에 포함해 금융 조달 활성화를 지원한다. 또한 전력저장장치를 에너지절약시설 투자세액공제 대상으로 추가해 설치비용의 100분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을 소득세 또는 법인세에서 공제해 전력저장장치 설치를 유도할 방침이다. 특히 계시별 요금제, 선택형 최대피크요금제 등 전기요금 제도를 개선하고 전력저장장치를 통한 전력피크 절감 활용도를 제고 계획이다.
셋째, 보급기반 조성을 위해 상용화된 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 확보를 최우선으로 고려한 전력저장장치 인증제도를 도입한다. 안전 인증기준의 경우, 일본의 전력저장장치 보급제품 인증기준을 활용해 국내 보급제품에 대한 안전 인증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100kW급 전력저장장치(PCS)에 대한 자율 안전인증(KC)제도는 오는 10월부터 시행된다. 아울러, 올해 말까지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을 개정해 전력저장장치를 고효율인증 대상품목으로 추가할 예정이다.
지경부 송유종 에너지절약추진단장은 “정부와 업계의 역량을 결집해 전력저장장치 초기 시장 창출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면, 단기적으로는 전력수급 안정화에 기여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전력저장시장 확보경쟁에서 우리나라가 글로벌 승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