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영희 기자] 걷기 힘든 발바닥 고통을 호소하는 발바닥근막염 환자가 매년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해 ‘발바닥근막염’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7년 4만 1천명에서 2011년 10만 6천명으로 5년간 약 6만5천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26.7%로 나타났다. 총진료비는 2007년 22억 9천만원에서 2011년 63억 1천만원으로 5년간 약 40억 2천만원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29.5%로 나타났다.
발바닥근막염의 성별 진료인원 점유율은 2007년 남성이 약 45.2%, 여성이 약 54.8%였고, 2011년 남성이 약 42.5%, 여성이 약 57.5%의 점유율을 보여 여성 진료인원의 점유율이 해마다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발바닥근막염 성별 진료인원 추이>
연령별로 보면, 2011년 기준 진료인원 점유율은 50대 23.8%, 40대 22.7%, 30대 18.2%로, 30~50대가 전체의 64.7%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했다. 남성 진료인원은 30대까지 증가하다 점차 감소하며, 여성 진료인원은 30대~50대에 집중돼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남성의 경우 30대까지 축구, 농구 등의 스포츠 활동이 많고, 여성은 20대부터 하이힐을 신고 장시간 생활하게 되는 경우 발바닥에 비정상적인 부하가 지속적으로 가해져 추후 발바닥근막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월별 진료인원 현황을 보면, 매년 여름철에 진료인원이 늘어나고, 겨울철에는 진료인원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휴가철을 맞아 무리한 운동을 할 경우 발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쌓여 염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또한 겨울에는 푹신하고 큰 신발을 많이 신지만 여름이 되면서 바닥이 얇고 딱딱한 신발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아 발바닥근막염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게 된다.
발바닥근막염은 발을 디딜 때 느껴지는 심한 통증이 특징으로 주로 가만히 있을 때는 통증이 없다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통증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발바닥근막염은 특별한 치료가 없어도 천천히 스스로 증상이 완화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나, 좋아지기까지 약 6개월에서 18개월이 소요된다. 특히 발바닥근막염을 장기간 방치하게 되면 보행에 영향을 주어 무릎, 고관절, 허리 등에도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발바닥근막염의 발생원인은 생활습관에서 기인한 경우 이를 교정하면 치료 및 예방이 가능하다.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며칠간 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쉬는 것이 중요하고, 얼음이나 차가운 물수건 등을 이용한 냉찜질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비만으로 인한 체중의 증가 역시 발바닥근막의 악화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평소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고, 적절한 체중유지를 해주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