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지식경제부는 7월 자동차 산업을 잠정 집계한 결과, 생산 35만 5,627대, 내수 13만 2,854대, 수출 23만 8,824대로 각각 전년동월비 9.2%, 2.9%, 10.4% 감소했다고 밝혔다.
7월 중 생산은 주요 자동차업체의 부분파업으로 2만 7,300여대(현대차 1만 4,100여대, 기아차 5500여대, 한국지엠 7700여대) 가량의 생산차질과 조업일수가 20일에서 19일로 감소하며 전년동월비 9.2% 감소했다.
내수는 수입차의 선전과 신형 싼타페, K9의 신차효과에도 불구하고 가계부채 부담 등으로 인한 위축된 소비심리를 반영해 전년동월비 2.9% 감소했다. 국산차(승용)는 경차와 SUV 판매가 증가했으며, 수입차는 2천cc미만 차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 해 봄 출시된 그랜저(대형), 올란도(CDV)의 신차효과에 따른 기저효과, 소형과 중형은 신차효과 약화로 각각 감소했다.
수출은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으로의 꾸준한 수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부분파업으로 인한 공급물량 차질과 EU 지역의 계속된 자동차 수요 감소 등으로 전년동월비 10.4% 감소했다. 상대적으로 단가가 낮은 경차가 큰 폭으로 감소(-13.2%)하면서 대수기준의 집계 시 보다 낮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지역별로는 미국의 자동차 수요 회복세로 북미 수출이 증가세를 유지한 반면, 재정위기 등으로 인한 EU 시장의 수요 감소, 지난해 12월부터 브라질 공업세 인상 등으로 EU, 중남미 지역으로의 수출은 감소세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