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최은아 기자] 보건복지부는 벌초 시 발생할 수 있는 벌 쏘임과 뱀 물림 시 응급처치법 등 추석명절을 앞두고 국민들이 미리 알아두면 유익한 각종 건강상식을 안내했다. 우선 추석명절을 앞두고 벌초 시 발생할 수 있는 벌 쏘임과 뱀 물림에 조심해야 한다.
말 쏘임
말벌의 독성은 꿀벌에 비해 15배에서 30배 이상 강하고 여러 차례 계속해서 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벌초를 할 때는 자극적인 향수나 화장품, 밝고 화려한 옷을 피하고 긴소매 옷을 입으며, 심혈관 질환이나 호흡기 질환이 있을 경우 벌에 쏘이면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벌에 쏘일 경우 119에 도움을 요청해 필요한 응급조치서비스를 받는 것이 좋다.
벌에 쏘였을 때는 환자를 벌이 없는 안전한 곳으로 이송한다. 피부에 벌침이 박혀 있는지 살펴본다. 침이 피부에 남아 있는 경우에는 침을 손톱이나 신용카드 같은 것을 이용해 침을 피부와 평행하게 옆으로 긁어주면서 제거한다.
침이 피부에 없거나 제거한 후에는 벌에 쏘인 자리를 비누와 물로 씻어 2차 감염을 예방하고, 쏘인 부위에 얼음주머니를 15~10분간 대주면 붓기를 가라앉히고, 통증감소 및 독소의 흡수속도를 느리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쏘인 부위에 가려움과 통증만 있는 국소적 증상만 있는 경우에는 항히스타민제 복용이 가려움증에 도움이 되고, 진통제 복용은 통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뱀 물림
뱀에 물렸을 때는 환자를 뱀이 없는 곳으로 옮긴다. 뱀은 재공격하는 경우가 흔하며 몸이 잘린 후에도 20분 정도는 움직이므로 뱀을 잡는 행위나 설사 뱀을 잡았더라도 극도의 주위를 요한다. 환자가 흥분해서 걷거나 뛰면 독이 더 빨리 퍼지므로 환자를 안정시킨다. 팔을 물렸을 때는 반지와 시계를 제거한다. 그냥 두면 팔이 부어오르면서 손가락이나 팔목을 조여 혈액 순환을 방해할 수 있다. 물린 부위는 비누와 물로 씻어낸다.
물린 부위는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심장보다 아래에 위치시키어 독이 심장쪽으로 퍼지는 것을 지연시킨다. 입으로 상처를 빨거나 진공흡입기를 사용해 독을 제거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되지 않고 위험할 수 있어 시도하지 않는다. 병원까지의 거리가 멀고 물린 부위가 빠르게 붓는 경우에는 물린 부위에서 5~10cm 정도 심장 쪽에 가까운 부위를 폭 2cm 이상의 넓은 손수건, 옷 천, 밧줄, 탄력붕대 등을 이용해 묶을 수 있다.
압박대를 너무 꽉 조이는 경우에는 오히려 피가 통하지 않아 2차적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동맥은 차단하지 않고 정맥의 흐름만 차단할 수 있는 정도(손가락 1개가 편하게 들어갈 정도로 느슨하게)의 힘으로만 조인다. 일단 묶었으면 다시 풀었다 묶었다 하지 않아야 하며, 아래 부위의 맥박이 잘 뛰는지 수시로 검사해 보아야 한다. 뱀에 물렸을 때에 가장 중요한 행위는 최대한 빨리 항독소가 있으면서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으로 가는 것이다.
이외에도 추석 연휴 각종 건강상식은 ‘국가건강정보포털(health.mw.go.kr)’에 접속하면 증상별 검색을 통해 다양한 건강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