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세미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화상’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2006년 36만 6천명에서 2011년 47만 3천명으로 최근 6년 동안 연평균 5.2% 증가했다. 남성은 2006년 16만명에서 2011년 19만 2천명으로 연평균 3.7%가 증가했고, 여성은 2006년 20만 6천명에서 2011년 28만 1천명으로 연평균 6.4%가 증가했다.
2011년을 기준으로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 비율을 보면, 9세 이하가 18.8%를 차지해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40대 16.9%, 30대 15.4%, 50대 14.5%, 20대 12.5% 순(順)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1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남성이 774명, 여성은 1,147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5배가량 많았다. 남성은 9세 이하가 2,023명으로 가장 많았고 80세 이상 717명, 30대 690명, 20대 675명 순(順)이었다. 여성도 9세 이하가 1,832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1,273명, 40대 1,248명, 20대 1,089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특히 9세 이하에서는 남성이 많았고, 9세 이하와 80세 이상을 제외한 다른 연령층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화상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6년 630억원에서 2011년 1,092억원으로 462억원이 늘어 연평균 증가율은 11.6%로 나타났다. 공단이 부담한 급여비는 2006년 458억원에서 2011년 820억원으로 362억원이 늘었다.
<연도별 '화상' 질환 10만면당 진료인원 현황>
9세 이하 어린이, 뜨거운 물에 의한 화상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응급의학과 박원녕 교수는 “화상의 가장 흔한 원인은 화염과 뜨거운 물이다. 이 외에도 뜨거운 철판에 닿거나 극독성 화학물질 혹은 방사성 물질에 노출되는 경우, 고압전류 등에 접촉할 때 화상을 입게 된다”고 말했다.
1도 화상은 표피층만 손상된 상태로 화상을 입은 부위에 홍반이 생긴다. 대개 직사광선에 장시간 노출된 경우 고도의 발열에 순간적으로 접촉 또는 노출됨으로써 생긴다. 이때 약간의 통증과 부종이 생기며 이러한 증상은 약 48시간 후에 거의 없어진다.
2도 화상은 1도 화상보다 더 깊은 조직 손상을 입는 것으로 끓는 물이나 섬광, 화염, 기름 등에 의해 생기며 표피 전부와 진피의 일부를 포함하는 화상이다. 3도 화상은 화염, 증기, 기름, 화학물질, 고압 전기에 의해 생길 수 있다. 표피, 진피의 전층과 피하지방층까지 손상이 파급된 상태로 창상부위의 조직괴사가 심해 부종이 심한 편이지만 오히려 통증은 별로 없다.
박 교수는 “화상 환자 중 9세 이하 어린이가 많은 이유는 뜨거운 국과 라면을 엎거나 끓는 주전자를 잘못 건드리는 등 평소 부주의한 행동으로 뜨거운 물에 의한 화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많다”며 “이는 불에 의한 화상보다 심각한 수준의 화상을 입는 것은 아니지만 제때 치료를 하지 않으면 평생 화상자국을 남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화상’ 치료법
심한 화상이 아니라면 화상 부위에 입었던 옷을 바로 벗겨내야 한다. 화학물질에 노출된 옷의 경우도 손상이 계속되지 않도록 벗긴다. 잘 벗겨지지 않으면 달라붙지 않는 옷은 잘라서 제거하고, 달라붙는 옷은 씻으면서 제거한다.
또한 화상을 입은 즉시 화상부위를 얼음물 등으로 차갑게 만들어 주어야 한다. 화상을 입은 직후, 몇 시간 동안 효과적인 냉각을 할 경우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멸균한 거즈에 생리식염수를 섭씨 12도 정도로 냉각시켜 화상부위에 대면 좋다. 이때 얼음을 직접 환부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광범위 화상의 경우에는 체온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섣불리 찬물에 들어가거나 냉각하지 말고 지체 없이 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해야 한다.
물이나 자극성이 적은 비누로 먼저 깨끗이 씻고 잘 건조시켜 화상 부위를 깨끗하게 한다. 화상 부위를 깨끗하고 건조한 시트로 덮어주는 것이 좋다. 이 경우 환부에 공기가 닿으면서 생기는 통증을 줄일 수가 있다. 통증이 심하다면 미리 가지고 계신 소염 진통제를 복용해도 된다. 이미 터진 수포라면 소독 후 항생제 연고를 바르는 것이 좋다.
불을 사용할 때 부주의하지 않도록 조심
뜨거운 물을 다룰 때는 특히 조심을 해야 한다. 주거지의 벽지, 아이들 잠옷 등은 불에 잘 타지 않는 것으로 하며, 주거지 내에서는 되도록 흡연을 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화재에 안전한 가스보일러나 연탄보일러를 사용하며, 실내 화재 시에 입과 코를 젖은 손수건 등으로 막아 유독가스를 흡입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