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혜선 기자] ‘한국 토종자원의 한약재 기반구축 사업’으로 토종한약재에 대한 생물자원 주권확보 계기를 마련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1년간 ‘한국 토종자원의 한약재 기반구축 사업’을 추진해 토종한약재 유전자원 확보대상 88개 품목 중 능소화(어혈제거 효능) 등 10개 품목의 유전자를 세계유전자은행(NCBI)에, 택란(강심이뇨 효능) 등 31개 품목의 유전자원을 국립생물자원관에 각각 등록 의뢰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대비해 토종한약재 유전자원 확보 및 한국토종자원의 한약재 사용을 위한 규격설정(100품목)을 위한 사업으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 총 80억원(국비 40억원, 전남도비 40억원)이 투자될 계획이며, 지난 1년간 전남한방산업진흥원에서 위탁받아 수행해 왔다.
2010년 채택된 나고야의정서는 생물자원의 이용에 있어 자원 제공국과 사용국이 이익을 공유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국제협약. 동 의정서가 발효되면 외국에서 한약재를 수입해 사용하는 경우 이에 대한 로열티를 지불해야 하거나, 연구과정에서도 자원제공국과 사전협의를 거쳐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우리 토종한약재에 대한 유전자원 등록은 향후 나고야 의정서 발효 시, 우리의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을 주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므로 이번 토종한약재에 대한 유전자 확보사업은 우리 토종한약재에 대해 주권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 관계자는 “토종자원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수집된 자원과 재배정보를 토대로 종자보급을 통한 지역 특성과 환경에 맞는 한약재의 대규모 재배를 가능케 함으로써 국내에서 필요로 하는 한약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