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교육과학기술부는 우리시간으로 24일에서 26일 사이 러시아 인공위성 ‘코스모스 1484’가 지구상으로 추락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1일부터 한국천문연구원 내 우주물체감시상황실에서 추락상황 분석 및 대국민 알림서비스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코스모스 1484’ 위성은 1983년 7월 24일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발사장 (구 소련)에서 발사한 지구 원격탐사용 인공위성으로 무게 2,500kg의 중형 위성이다. 위성의 자세한 형태와 사양 등은 러시아에서 공개한 정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저궤도 위성은 발사 후 약 3-40년 내에 지구에 추락하는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이 위성의 추락으로 이러한 예측이 더욱 신빙성을 얻게 됐다
한국천문연구원 우주물체감시센터는 지난해 12월부터 이 위성의 추락 상황을 주시해 왔다. 16일 현재 원지점 고도 240km ± 10km, 근지점 고도 236km ± 10km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교과부는 위성추락으로 인한 비상사태 발생에 대비해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공군과 공동으로 오는 21일부터 한국천문연구원 내에 위성추락상황실을 설치해 추락상황 분석 및 상황을 전파할 예정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공군은 국제협력체계를 활용해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한국천문연구원은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코스모스 1484’ 위성의 궤도와 한반도 통과시각, 추락시각 및 장소 등 위성추락상황을 종합 분석해 상황이 종료될 때까지 관계부처 및 기관에 전파하고 인터넷과 트위터를 통해 시시각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위성이 한반도 인근에 낙하할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정확한 낙하시각과 장소가 추락 1~2시간 전에야 분석이 가능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언론 등을 통해 상황을 예의 주시할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한편, 교과부는 최근 우주물체의 지구 대기권 진입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우주위험에 대한 대비를 강화하기 위해 ‘우주개발 진흥법’ 개정을 추진 중에 있다. 또한 우주물체 감시 및 피해예방을 위한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종합적인 위기대응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