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환경부는 2012년 유증기 회수설비 설치로 인한 주유소 내의 대기오염 저감효과를 조사한 결과, 대기질 개선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인체에 유해한 벤젠 농도가 확연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유증기 회수설비 전문검사기관인 한국환경공단이 주관해 유증기 회수설비를 설치·운영 중인 5개 주유소를 대상으로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 간 진행됐다.
조사결과, 유증기 회수설비 설치 후 주유소 내 주유기 주변의 대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이하 VOCs) 농도가 1.611ppm에서 0.374ppm으로 평균 77%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나 유증기 회수설비 설치로 인한 오염물질 저감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명됐다.
특히 주유기 주변과 함께 주유원의 주요 활동지인 부지경계선상의 VOCs 농도 저감효율도 68%로 나타나 유증기 회수설비 설치가 주유원 건강보호에도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환기 부족과 오염된 작업복 보관, 유류 저장탱크와 연결 라인에서 일부 유입되는 유증기 등의 영향으로 사무실 내부의 VOCs 농도가 높아 수시로 사무실을 환기하고 근무복은 따로 보관하는 등 주유소의 자구(自救)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VOCs 성분분석결과, 위해성이 높은 대표 물질인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은 주유기 주변 저감효율이 78∼89%인 것으로 조사돼 저감효과가 상당히 우수했다. 특히 인체 위해도가 높은 1급 발암물질 벤젠은 저감효율이 89%로 상당히 높아 유증기 회수설비가 주유원과 이용객, 인근 주민의 건강보호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증기 회수설비 설치로 인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주유소 종사자의 82%가 휘발유 냄새가 감소됐다고 답변했다. 이와 함께 주유소 이용객의 87%는 회수설비가 설치된 주유소를 다시 찾겠다고 응답하는 등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환경부 관계자는 “앞으로 유증기 회수설비가 적정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기술지원을 더욱 강화하겠다”며 “유증기 회수설비 미설치 지역에 대한 유증기 발생 억제를 위해 올해 중 인구 50만 이상 중·대도시를 대상으로 유증기 회수설비 설치 확대를 위한 관련 법안을 개정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