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미선 기자] 여성가족부는 ‘2012년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해 2012년 10월 현재 국내외에 생존한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60명(국내 54명, 국외 6명)을 대상으로 정부지원 만족도, 건강실태 등을 조사했다.
이번 조사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게 지원하는 생활안정지원금과 간병비 등 지원 전반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만족스럽다’는 응답이 높았다. 57.4%(31명)가 ‘만족’, ‘매우 만족’은 5.6%(3명)으로 나타나 63%(34명)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번 조사에서 명예회복과 손해배상 청구를 위한 소송제기 의지가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건강상태는 정서적 건강상태와 일상생활 수행 능력, 인지 기능 등은 비슷한 연령대의 일반 여성 노인과 비교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2주 이상 우울증 경험자 비율은 40.7%로 일반 여성노인 9.2%에 비해 4배 이상 높았다.
‘화장실 이용하기 등’ 일상생활수행을 위해 도움이 필요한 경우가 약 30% 이상으로 10% 내외인 일반 여성노인에 비해 3배 정도 높았다. ‘약 챙겨먹기, 금전 관리하기, 교통수단을 이용해 외출하기 등’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50% 이상으로 20% 내외인 일반 여성노인보다 훨씬 높았다. 인지기능에서 중증장애가 의심되는 경우는 75.9%로 일반 여성 노인 48.8%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건강검진 수진 실태를 보면, 최근 2년 동안 무료 건강검진 수진자는 44.4%, 2차 건강검진 수진자는 33.3%로써 일반 여성노인의 2차 건강검진율 5.8%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부는 지난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를 대상으로 종합건강검진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 6월부터 명예회복과 진상규명, 손해배상을 위한 소송을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돼 이를 지원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