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희연 기자] 눈앞이 빙빙 도는 어지럼증을 동반하는 전정기능 장애 진료환자가 최근 5년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해 전정기능(말초성 어지럼증) 장애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8년 약 55만명에서 2012년 약 85만명으로 5년간 약 30만명이 증가(54.0%)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1.5%로 나타났다.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은 남성이 약 30~31%, 여성은 약 69~70%로 여성이 남성보다 약 2.2배 더 많았다. 연평균증가율은 남성이 12.3%, 여성이 11.1%로 남성의 평균증가율이 약 1.2% 더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10세구간) 점유율은 2012년 기준으로 70대 이상이 24.6%로 가장 높았고 50대가 21.2%, 60대가 19.3%로 50대 이상의 장·노년층에서 65.1%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정기능 장애 성별 진료인원 추이, 2008~2012>
전정기관은 내이(귀속)의 반고리관, 난형낭, 구형낭, 말초 전정신경 등으로 구성된다. 이 부위에 이상이 생겨 그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전정기능 장애라 한다. 증상은 회전성의 어지럼증이며 일반적인 멀미나 현기증과는 다르게 뚜렷한 회전 방향(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부분의 환자는 ‘머리가 빙빙 돈다, 천정과 주위가 돌아간다’와 같은 표현을 한다. 어지럼증은 가만히 있어도 생기게 되며 원인에 따라서는 머리를 특정 자세로 움직이거나 큰 소리를 들을 때, 머리 쪽으로 진동을 가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어지럼증과 함께 이명, 난청, 이충만감 등 청각 증상이 동반 될 수 있다. 심한 두통이나 복시, 얼굴마비, 언어 장애, 의식 장애, 감각이나 운동 장애 등의 증상이 동반 되면 뇌경색 등 중추성 전정기능 장애를 의심해야 한다.
전정기능 장애를 예방하기 위한 뚜렷한 예방 수칙이나 권고되는 기준은 없다. 그러나 전정기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머리 충격은 피하고 이독성 항생제나 항암제를 사용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 중이염이 있을 때는 적절하게 치료하는 것이 좋다.
전정기능 장애가 보행 장애와 평형유지 장애로 나타날 경우, 일상생활에서 넘어지거나 운전 시에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노인에서 발생하는 전정기능의 장애로 낙상, 충돌이 발생했을 시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