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투데이 김수경 기자] 앞으로 환경오염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도 과학수사기법을 적용해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해부터 환경 분쟁 해결 등을 위해 환경과학수사기법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환경오염원을 규명한 첫 사례인 1차년도 연구결과를 18일 발표했다.
환경과학원이 구축해 나가고 있는 환경과학수사기법은 기존의 ‘무엇이’, ‘어디에 있는지’라는 환경오염의 단순 현상평가에서 한 단계 발전한 ‘누가’, ‘언제’ 환경오염을 유발시켰는지 등의 조사로써 오염 원인규명과 환경 분쟁 조정 등에 목적을 둔 환경오염도 조사기법이다.
환경과학원은 2011년 본 연구 착수에 앞서 사전평가를 실시하고 지난해부터 5년간의 연구 로드맵에 따라 ‘중금속 동위원소를 이용한 오염물질 발생원 추적 연구’ 사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납 오염원 추적 연구 구축에 이어 올해는 대기 중 납 추적 연구와 황, 질소 등 안정동위원소를 활용한 오염원 연구 구축을 추진 중이다. 이외에도 비표적 오염물질 검색기법 연구, 환경오염 생물지표의 대사체 추적연구 구축과 국내 환경 중 납 오염원을 추적하기 위한 주요 중금속 배출시설의 납 동위원소 인벤토리 구축 등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으로 연구 기반이 구축되면 중금속 동위원소를 이용해 배출원의 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정확한 오염원 조사와 그 오염원에 대한 기여도 평가가 가능하다. 기존에는 농도조사를 통한 오염원 규명으로 거리, 풍향 등을 고려해 배출원에 대한 오염원의 기여도를 유추했다. 또한 오염물질에 대한 배출원 추적과 기여율 산정 기법을 마련하고 환경오염의 원인을 좀 더 명확히 규명하게 됨으로써 환경오염분쟁이나 환경오염에 대한 피해 보상에 근거자료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중국 등으로부터 오는 장거리이동오염물질 관리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기 중 납 오염원 규명에 대한 환경수사기법 도입을 위해 연구를 확대해 나갈 것이다. 연차별로 중금속 오염원 추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