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희연 기자]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가 50대 남성에게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1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알코올성 간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전체 진료환자는 2011년 14만 7천명,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는 29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남성이 12만 7천명, 여성이 2만명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6배 많았다. 남성의 경우 50대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 비중이 전체의 32.6%로 가장 높았고 40대 24.5%, 60대 18.2%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50대 28.4%, 40대 25.9%, 30대 18.1% 순이었다. 특히 전체 진료환자수를 기준으로 50대 중년 남성이 전체의 28.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전체 진료환자 대비 남성 연령대별 분포<2011년)
알코올성 간질환 세부상병별 진료환자는 알코올성 지방간(30.4%), 알코올성 간염(25.1%), 알코올성 간경화(15.0%) 순으로 많았다. 남성의 경우 연령이 높아질수록 알코올성 지방간은 감소하고, 중증 만성질환인 알코올성 간경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성 간질환은 과도한 음주가 원인이 돼 발생한다. 과도한 음주는 개인에 따른 유전적인 차이, 남녀 성별, 기타 만성간질환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성인 남성은 매일 40-80g, 소주로는 240-480mL를 마실 경우 알코올성 간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여성은 남성보다 적은 양의 음주로도 알코올성 간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최종원교수는 "50대 중년 남성 환자가 많은 이유는 이전부터 마시던 음주에 의한 영향이 50대에 나타나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며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금주이다. 금주 이외에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약제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간경변증까지 진행해 내과적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간이식을 통해 치료할 수 있는데, 이식 전에 최소한 6개월간 금주를 해야 이식 수술 후 음주로 간기능이 다시 나빠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