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교육부는 중학교 교육과정 중 한 학기 동안 중간·기말고사 등 시험부담에서 벗어나 학생의 진로탐색을 위한 다양한 직·간접 체험 활동을 강화하고, 수업방식을 토론·실험·실습·프로젝트 수행 등 학생 참여 중심으로 개선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을 28일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은 올 9월과 내년 3월부터 운영하는 연구학교에 적용된다. 학교에서 학교별 여건과 특성에 맞게 자유학기의 교육과정을 구성·운영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과 ‘체험 인프라 구축 및 지원방안’ 등 크게 두 부분으로 마련됐다.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우선, 자유학기 동안 2회 이상의 ‘전일제 진로체험’, 학생이 국내 기관에서의 진로체험 계획을 세우고 학교장은 이를 출석으로 인정하는 ‘자기주도 진로체험’ 등을 실시해 학생들이 학습하고 상담 받은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직접 확인하는 기회를 확대한다.
또한 학교생활기록부의 ‘진로희망사항’란 등을 학생이 원하는 직업뿐 아니라 희망 직업의 비전, 희망 이유 등도 기술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자유학기를 비롯한 초·중·고등학교에 걸친 학생의 진로탐색 활동이 체계적으로 기록·누적·관리돼 일련의 ‘진로 포트폴리오’가 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자유학기 동안에는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에서 학생이 능동적으로 참여해 활동할 수 있는 수업방법을 적극 활용하게 된다. 국어, 영어, 수학은 암기식 수업을 최소화하고 토론, 의사소통, 문제해결 등 학생 주도의 수업을 활성화한다. 사회, 과학은 실험, 실습, 체험학습, 프로젝트 수행 등 탐구와 사고 중심의 수업이 강화된다.
자유학기에는 기존에 실시하던 중간·기말고사는 실시하지 않는다. 대신 학교별로 수업진도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진전 상황을 확인하고 이를 학생지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형성평가, 자기 성찰 평가 등 적절한 방안을 마련해 시행한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자유학기제 지원센터(한국교육개발원)를 통해 다양한 평가방안을 개발해 보급할 예정이다.
아울러,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학생들이 상급학교 진학 시, 불이익 받지 않도록 시·도교육감들과 협의해 자유학기 동안의 학습 성취 수준 확인 결과는 고교입시에 반영되지 않도록 할 예정이다.
체험 인프라 구축 및 지원방안
교육부와 자유학기제 지원센터는 관계 부처, 업종별 중앙단체와 업무협약(MOU)를 체결해 ‘중앙→광역→지역단위’의 단계별로 이어지는 학생들의 체험 인프라 확보를 위한 토대를 구축할 계획이다.
시·도교육청은 다양한 체험 인프라가 부족한 농산어촌 학생의 체험 교육 강화를 위해 이동차량 지원, 도시 체험인프라와의 연계 등 실질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자유학기제의 원활한 운영과 정착을 위해 학교장과 교원을 대상으로 연수, 워크숍을 실시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우리 교육이 입시위주에서 탈피해 학생들이 행복한 학교생활을 누리고 스스로 꿈과 끼를 찾아갈 수 있는 자유학기제가 항구적인 교육제도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