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경 기자]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친환경 속성을 이용한 속임수로 녹색시장 활성화를 방해하고 있는 속칭 ‘짝퉁’ 친환경제품에 대한 교통정리에 나섰다.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녹색 위장제품’(이하 그린워싱)에 대한 국내외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그린워싱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그린워싱’은 '그린(Green)'과 '화이트 워싱(White Washing)'의 합성어로 기업의 경제적 이윤을 목적으로 친환경적 특성을 허위·과장해 상품을 광고 또는 홍보하거나 포장하는 등의 행위를 말한다. 이번 조치는 소비자들의 친환경제품 구매가 증가할수록 친환경제품에 대한 의구심과 표시, 광고에 대한 불신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추진됐다.
2010년과 2012년 실시한 환경산업기술원의 조사에 따르면, 친환경제품의 구매경험이 39.6%에서 56%로 증가한 반면 ‘믿을 수 없다’는 응답자도 4.3%에서 8.4%로 늘었다. 또한 지난해 한국소비자원 조사에서도 녹색관련 표시를 한 제품 중 46%가 허위·과장 표현을 하거나 중요정보를 누락한 것으로 확인되는 등 심각한 문제가 드러났다.
이번 실태조사는 소비자에 왜곡된 정보 제공, 친환경제품 개발 기업의 의지를 꺾고 공정한 경쟁을 방해하는 기업과 제품을 대상으로 대대적으로 실시된다. 친환경마케팅이 활발한 세제류, 목욕용품, 화장지류, 가공식품, 유제품류 등 온·오프라인 유통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생활용품 중심으로 추진된다.
이와 함께 소비자와 생산자 대상으로 녹색위장제품에 대한 인식 수준 조사도 병행될 예정이다.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애매모호한 환경성에 대한 표시나 광고에 대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그린워싱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기업은 정확한 기준을 가지고 환경성 관련 표시나 광고를 할 수 있게 해 친환경제품 개발의지를 북돋우고, 소비자는 친환경 제품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해 공정한 경쟁 질서를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