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해옥 기자] 스마트폰 사용이 급증하면서, 20대 목 디스크 환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7년부터 2011년까지 근골격계질환인 ‘목뼈원판장애(이하 목디스크)’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진료환자가 2007년 57만3,912명에서 2011년 78만4,131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8.1%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년대비 증가율은 2008년 5.0%, 2009년 8.3%, 2010년 7.0%로 증가했으나 2011년에는 전년대비 12.3%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성과 여성의 연평균 증가율이 동일하게 8.1%였고 진료인원은 2011년 기준으로 남성 33만1,091명, 여성 45만3,040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4배 많았다.
최근 5년 동안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연령대는 20대 남성으로 연평균 7.7% 증가했다. 이어 20대 여성이 7.6%, 80세 이상 여성이 6.9%, 30대 남성이 6.8% 증가했다.
일반적으로 목디스크를 유발하는 흔한 요소로는 작업 강도, 자세, 연령, 흡연 등이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외과 장호열 교수 “2010년부터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하루에 많은 시간을 스마트폰에 의지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 시 장시간 고개를 숙인 자세는 경추간판에 무리를 주어 결국 경추부 동통, 목 디스크를 일으키는 요소가 된다”며 “최근에는 수술만이 아닌 통증차단술, 운동치료, 수핵성형술 등의 최소 침습적인 치료법 개발과 보급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늘고 있는 것도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목디스크 예방을 위해서는 바른 자세가 중요하다. 경추에서 가장 바람직한 자세는 귀와 어깨선이 일직선이 되는 자세다. 목이 너무 앞으로 나와서 거북목 자세인 경우, 목 뿐 아니라 흉추에도 영향을 미쳐 흉추 전만이 되기 쉽다. 장 교수는 “바른 자세는 어깨를 바로 펴고, 턱을 뒤로 당겨 머리의 무게 중심이 몸통 위로 두게 하는 것이다. 가장 쉬운 방법은 귀와 어깨의 중심선이 일치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TIP. 치료 혹은 예방적 운동
하나, 심부 굴곡근 강화 운동
고개를 숙인 채 벽에 머리를 기대어 더 이상 숙여지지 않게 한 자세에서 목을 더 숙이려 하면 턱을 내리면서 고개를 끄덕이게 되고, 근육은 등척성 운동(isometric excercise)을 하게 된다. 이렇게 약 10초간 유지하고 근육 긴장을 풀었다가 다시 10초간 이 자세를 취하는 것을 10회 정도 반복한다.
둘, 심부 신전근 강화 운동
고개를 숙인 자세에서 시작해 턱을 당긴 자세에서 흉추부부터 서서히 뒤쪽으로 고개를 든 다음 서서히 고개를 든다. 환자 자신이 스스로 저항을 주면서 강화 운동을 한다
셋, 상와근 강화 운동
우측 상와근의 강화를 위해 머리를 우측으로 굴곡한 자세에서 머리 우측에 손을 데어 스스로 저항을 형성하면서 우측으로 고개를 더 굴곡시킨다. 반대로 좌측 상와근의 강화를 위해서는 고개를 좌측으로 굴곡해 같은 방법으로 등척성 운동을 시행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