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공공부문 기관들이 2020년 예상배출량(BAU) 대비 30% 감축이라는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 절약에 앞장선 결과, 2012년 온실가스를 기준배출량의 8.1%, 약 40만CO2톤을 감축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환경부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시·도교육청, 공공기관 등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 대상기관에 대한 지난해 온실가스 감축 이행결과보고서 평가결과를 발표했다. 공공부문 기관은 2015년까지 기준배출량의 20% 이상 감축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2012년도 공공부문 의무 감축대상 전체 762개 기관 중 실적자료 분석이 가능한 703개 기관을 대상으로 기준배출량과 실제 배출량 실적을 평가한 결과, 기준배출량인 488만 7,000CO2톤의 8.1%인 39만 4,000CO2톤을 감축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소나무 7,880만 그루를 심는 효과에 해당하는 것으로 환경부의 2012년 관리목표인 8%를 달성한 것은 물론 제도시행 첫해인 2011년 감축률 5.7%보다 2.4% 더 감축한 성과다.
공공부문 유형별 감축실적을 보면, 지방공사·공단이 12.2%로 공공기관 10.1%, 중앙행정기관 7.7%, 지자체 7.2%, 국·공립대학 5.3% 등 다른 기관에 비해 감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부문 각 유형별 기관 모두 제도시행 첫 해인 2011년 감축실적에 비해 최소 0.3%, 최대 6.0% 감축률이 증가했다.
공공부문 기관의 감축방법을 분석한 결과, 냉난방 온도 준수·승강기 운행횟수 조정 등 행태개선이 62.7%로 가장 높았다. 이어 LED조명 교체와 고효율 냉·난방기 교체 등의 시설개선 6.9%, 천연가스 차량교체 0.8%, 기타 29.6% 등 다양한 감축방법이 적용되고 있었다.
<공공부문 감축방법 비교>
환경부 관계자는 “대부분의 기관들이 예산부족 등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시설개선 보다 행태개선 활동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았다”며 “이에 적극적인 감축노력이 뒷받침돼야 201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 줄인다는 향후 공공부문 감축목표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