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강영란 기자] 교육부는 100세 시대 국가평생학습체제 구축을 위한 방안으로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국제지위와 경제수준은 높아졌으나 국민 행복지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조사 결과 34개국 중 27위에 불과하다. 또한 국민행복을 이끄는 주요 요소인 평생학습 참여율은 매년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진국에 비해 낮은 실정이다.
동 계획은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온․오프라인 평생학습종합지원체제 구축, 사회통합을 위한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 지역사회의 학습 역량 강화의 4대 영역, 12개 추진과제, 29개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우선, 성인학습자가 지속적인 자기계발과 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학․전문대학을 입학과 학습이 유연한 ‘성인친화형 열린 대학’으로 체제 전환을 유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평생학습 중심대학과 평생직업교육 대학을 육성하고 학위와 비학위 과정의 연계를 강화해 대학의 학생선발, 학과 개설, 학사 운영 등을 유연화 할 계획이다.
또한 국민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평생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평생학습통합서비스체제(평생학습 종합정보서비스망)를 구축할 계획이다. 평생교육시설이 부족한 지역의 주민들은 평생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읍․면․동 행복학습센터를 설치․운영해 주민 밀착형 평생교육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평생학습을 통한 유연한 인생설계와 재도약을 위해 재취업, 지속적인 자기계발 등 세대별로 평생학습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 중 중·장년층인 4050세대는 재취업, 창업 등 생애전환학습 지원을 위해 지역 대학에 융·복합형, 창업특화형 학과를 비롯해 다양한 비학위과정을 개설한다. 6070세대는 여가․복지․교육이 융복합 된 지역산업과 학습형 일자리를 연계한 실버세대 특성화 프로그램을 개발해 노년층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사회 공헌을 유도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학교시설을 활용해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할 계획이다. 농어촌 폐교를 활용하거나 학교시설 환경을 개선해 농어촌 평생교육을 지원하는 등 학교와 지역을 연계한 평생학습을 강화시킬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 기본계획의 시행으로 2017년까지 평생학습 참여율을 OECD 평균인 40.4%까지 높이고, 소득계층 간 평생학습 참여 격차는 9% 미만으로 낮추는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