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재규 기자] 안전행정부는 정부가 개방한 공공정보와 국민이 보유한 정보를 지도상에서 공유하고 서로 소통하는 ‘국민과 함께 만드는 생활정보지도(커뮤니티 지도)’ 서비스를 25일부터 전국적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안행부는 이 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참여도를 높이고 다양한 콘텐츠 확보 등으로 내실 있는 운영과 이용활성화를 위해 새마을운동중앙회, 바르게살기운동중앙협의회, 한국자유총연맹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커뮤니티 지도는 정부가 개방한 공공정보와 국민이 직접 경험한 생활 속의 다양한 정보를 지도 기반 커뮤니티를 통해 소통․공유하고 그 결과를 행정업무나 정책에 반영하는 국민 참여에 의한 민관 소통 서비스다.
이는 이용자가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지 않고도 지도 기반 커뮤니티를 활용해 사진이나 동영상 등을 포함한 자료를 게시하고 의견(댓글)을 등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이다.
정부는 이 서비스를 통해 녹색길, 착한 가격 업소, 인허가 업소 등 다양한 공공정보를 개방하고 이용자인 국민이 경험한 생활정보를 추가해 보다 더 실질적이고 유익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했다. 예를 들면, 불법주정차나 학교주변 유해업소 신고가 빈번한 곳을 파악해 CCTV를 설치하고 지역주민은 자율방법대를 조성해 지역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안행부 관계자는 “국민들은 직접 경험한 생활 속 불편이나 위험 지역의 위치 현황을 공유할 수 있고 행정기관은 그 정보를 행정처리, 정책결정 등에 반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서비스는 생활공감지도 홈페이지(www.gmap.go.kr/madang), 대한민국 정부포탈(www.korea.go.kr), 안전행정부 홈페이지(www.mospa.go.kr)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