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경 기자] 지역 주민들이 스스로 힘을 합쳐 누구나 안심할 수 있는 ‘안심마을’ 가꾸기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이를 통해 교통안전지도 제작, 독거노인 안전 네트워크 구성, 골목길 반사경 설치 등 다양한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된다.
안전행정부는 15일 정부서울청사 국제회의장에서 안심마을 시범사업 지역의 주민, 지자체 공무원과 전문가들과 함께 각 지역별 세부사업계에 대한 보고대회를 개최하고 각 지역이 서로 벤치마킹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안심마을 사업은 주민들이 직접 사전조사, 설문조사 등을 거쳐 위해요소를 분석한 뒤 사업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지자체는 주민들의 활동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과 안전인프라 개선을 추진하는 사업이다.
주요 사업내용을 살펴보면, 지역주민과 지자체 등 유관기관이 하나 돼 다양한 활동을 펼치는 주민 안전네트워크 활동이 많다. 주민자치회가 구심체가 돼 경찰서, 소방서, 보건소, 학교 등 유관기관·단체가 ‘안심마을 추진협의회’ 구성, 홀로 사는 노인 1대 1 안부서비스, 지역병원과 보건소 주치의 활용, 학교나 성폭력 등 범죄 피해자 피신·구조를 위한 안전지킴이집 운영 등이 그 대표적인 예다.
이날 보고대회에 참석한 이경옥 안행부 제2차관은 “이 사업이 관 주도가 아닌 주민 주도형으로 추진되고, 정부는 적극적 지원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새로운 형태의 민관협업 모델이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