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허은숙 기자]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은 올해 동절기 폭설과 한파가 예상됨에 따라 서비스업종 등의 넘어짐 재해에 대한 집중적인 재해예방 활동에 나선다.
안전보건공단이 동절기인 2012년 12월과 올해 2월까지 서비스업과 운수창고통신업에서 발생한 재해를 분석한 결과, 이 기간 동안 폭설이나 한파로 인한 재해자가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1천 481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업과 운수창고통신업에서 폭설이나 한파로 인해 발생한 재해자는 모두 2천 21명이었다.
발생한 대부분의 재해형태는 넘어짐 사고였다. 서비스업과 운수창고통신업에서 폭설이나 한파로 인해 발생한 전체 재해자 2천 21명중 88.6%인 1천 790명이 넘어짐 사고였다. 연령별 재해자는 60세 이상이 759명, 50대가 634명, 40대가 302명의 순으로 고령근로자일수록 재해가 많이 발생했다. 월별로는 12월에 1천 84명이 발생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월과 2월의 순으로 재해자가 많이 발생했다.
이밖에 업종별로는 경비업무 등에 해당하는 건물관리업 종사자, 사업장 규모별로는 5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 시간대 별로는 오전 9시에서 11시 사이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고용부는 지난해 12월의 경우,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3.2℃나 낮았고 강설량이 평년대비 261%나 많았던 것이 재해 증가요인 중 하나로 풀이했다.
올 겨울의 경우,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고 12월 서해안 지역 등에 많은 눈이 예상된다는 기상청 예보로 이에 대한 예방대책이 요구된다. 고용부와 공단은 재해 다발 가능성이 높은 건물관리업, 음식업, 도소매업, 운수창고통신업 등 5대 서비스업종을 선정해 ‘폭설․한파 재해예방 매뉴얼’과 빙판길 미끄럼을 방지하는 ‘도시형 아이젠’을 보급하기로 했다. 폭설·한파 재해예방 매뉴얼에는 폭설과 한파로 인한 재해현황, 위험성, 눈길에 미끄러지지 않는 법, 위험요인과 예방대책, 직종별 안전작업요령, 점검표 등을 제공한다.
기상악화 예보 발령 시에는 전국 40개 지역의 산업안전 전광판을 비롯해 버스정보시스템, 지하철 전광판, 안전보건 애플리케이션, 문자메시지를 활용해 위험상황을 미리 알리는 등 대국민 홍보활동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공단 관계자는 “겨울철은 두꺼운 옷이나 추위로 인한 신체능력 저하로 사고가 발생하기 쉽다. 특히 장년 근로자의 경우에는 순간 대응능력 저하로 사고에 노출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제설작업 등 야외 작업 시에는 탈·부착이 쉬운 도시형 아이젠을 반드시 활용할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