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국토교통부는 오는 9일로 예고된 철도노조 파업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하고,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철도노조는 3일 기자회견을 통해 철도공사의 ‘수서발 KTX 자회사’ 설립에 대한 반대를 이유로 파업을 선언한 상황이다.
이번 파업은 노조 스스로 밝힌 바와 같이 수서발 KTX 출자회사 설립 반대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정부는 명백한 불법파업을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하게 대처한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철도공사는 17조원이 넘는 부채 해소를 위해 임금을 동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나 노조는 ‘임금 6.7% 인상’과 ‘정년 2년 연장’ 등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철도파업에 따른 국민 불편과 국가경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부합동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6일 오후부터 가동하고 9일 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경우 즉시 비상수송체제로 전환해 대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먼저, 출퇴근 교통 불편이 없도록 통근·광역열차는 대체인력을 우선 투입해 평시와 같은 운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원활한 중장거리 여객 수송을 위해 KTX도 정상운행 할 계획이다.평시 대비 60% 수준으로 운행이 줄어들게 되는 새마을, 무궁화 등 일반열차 수요에 대해서는 버스 등 대체교통수단을 확보해 지원할 예정이다.
파업이 장기화 돼 통근·광역열차 운행에 차질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서울지하철 증회 운행, 버스노선연장·증편운행, 택시부제 해제 등을 통해 출퇴근 교통난을 완화시킨다. 중장거리 지역 간 여객수송은 평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의 여유좌석과 예비 편성 투입, 항공기의 여유좌석을 통해 처리하고 교통상황에 따라 필요시 추가 증편운행 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서발 KTX는 민간자본의 참여 없이 철도공사의 자회사에서 운영하기로 했음에도 민영화로 호도하며 파업을 하는 것은 국민 불편을 담보로 독점이익을 지키려고 하는 이기적인 행태다. 정부는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법에 따라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