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장수진 기자]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연계해 관광·문화·주거·산업 기능이 융·복합된 ‘올림픽 명품도시’ 조성을 목표로 정부가 야심차게 준비해온 평창 동계올림픽특구가 본격 개발될 전망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0일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특구종합계획(이하 특구종합계획)’이 최종 승인됐다고 발표했다.
특구는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지원하고 대회 이후에도 개최도시의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을 추진하기 위해 지정된다. 올림픽이 개최되는 평창과 강릉, 정선 일원에서 27.4㎢ 규모(여의도 면적 2.9㎢의 9.5배)로 추진된다.
이번 특구 사업은 관광개발과 진흥, 올림픽 지원, 주거·도시경관, 교통·생활 인프라 부문 등으로 구성돼 있고 향후 20년간 총 3조 3,063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계획이다. 동계올림픽특구는 입지 특성과 보유 자원, 올림픽대회 시의 기능 등에 따라 크게 5개 특구, 11개 단위개발 사업지구로 구분된다. 특구 개발은 공공과 민간 개발 방식을 병행해 이루어질 예정이다.
구분 |
특 구 명 |
위 치 |
지구 |
면적 |
계 |
3개 시·군, 5개 특구 |
11 |
27.4㎢ | |
종합 특구 |
평창 건강올림픽 특구 |
평창군 대관령·진부면 일원 |
5 |
16.8㎢ |
강릉 문화올림픽 특구 |
강릉시 교동 일원 |
2 |
2.8㎢ | |
기능 특구 |
봉평 레저·문화창작 특구 |
평창군 봉평면 일원 |
2 |
3.7㎢ |
금진온천 휴양특구 |
강릉시 옥계면 일원 |
1 |
0.2㎢ | |
정선 생태체험 특구 |
정선군 북평면 일원 |
1 |
3.9㎢ |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경제적 파급효과는 20년간 지역 내 총생산 증가 10조 4,683억 원(연평균 5,234억 원), 고용유발 효과 26만 4,390명(연평균 1만 3,220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특구 지정은 경기장, 도로 등과 같은 대회 관련 시설에 비해 민간투자 의존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준비가 미진했던 올림픽 숙박시설 등의 관광인프라 확충에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신속한 후속절차 이행, 올림픽 개최 전 1단계 사업 마무리
정부는 2년 가까이 준비한 특구지정이 완료됨에 따라 사업자 지정, 실시계획 수립, 승인 등 특구개발을 위한 후속 조치에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또한 특구종합계획이 대회 종료 이후 2032년까지 지속되는 장기계획인 만큼 오늘 승인된 특구 사업 이외에도 범정부 차원에서 올림픽 관련 신규 사업을 개발하고 원활한 민간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강원도는 특구종합계획을 승인하기 전에 일어날 수도 있는 지가상승과 투기를 방지하기 위해 설정했던 대회직접시설과 특구를 제외한 지역에 대한 ‘토지거래계약 허가 구역' 설정 해제 절차를 신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