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정보센터는 한국의 전통 문양 4,700건을 산업에 활용하기 쉽도록 용도별로 디자인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17일부터 문화포털(www.culture.go.kr)을 통해 민간에 무료로 개방한다.
문체부는 2005년부터 문화재에 내포돼 있는 독창적인 한국 전통문양을 디지털화해 약 11만 건의 데이터베이스를 민간에 개방했다. 개방된 데이터베이스들은 모바일 앱, 이러닝 콘텐츠, 교과서, 포장디자인, 인테리어 소품, 생활용품, 행사 디자인 등 다방면의 제품군에 한국적인 디자인 소재로 활용돼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이번에 추가로 개방하는 전통문양은 사용자별 정보형태의 요구사항을 수렴해 활용성이 부각되는 제품군별로 디자인 제작과 활용이 용이하도록 맞춤형으로 구축했다. 또한 원시문양자료에 디자인 요소를 가미해 손쉽게 재편집이 가능한 기본형과 확장형 디자인 1,800건, 원시문양자료가 내포한 의미와 상징을 고려해 스토리텔링을 부가한 디자인 제품 활용 사례 550건으로 구성됐다.
도깨비문양을 활용해 캐릭터 상품을 개발하고 교육용 앱북 개발을 통해 신규 사업 창출에 성공한 사례는 전통문양의 대표적인 활용 사례 중 하나다. 이모션북스는 도깨비 문양의 문화원형을 재조명해 친근하고 익살스러운 이미지의 캐릭터를 개발하고, 전통도깨비 캐릭터에 스토리와 음악, 애니메이션 등 복합적인 멀티미디어 기능을 부가해 교육용 콘텐츠를 추가로 개발했다.
또한 최근 해외문화홍보원은 대통령 해외 순방 시 흉배(왕 또는 문무백관의 의상에 수놓은 문양) 문양을 활용해 한국을 알리는 홍보자료를 제작해 주목을 끌었다.
한국문화정보센터 최경호 소장은 “개방된 정보가 저작권으로부터 자유롭게 활용될 수 있는 서비스 환경 마련과 디자인 기술이 열악한 1인 창조기업 또는 벤처기업의 신비즈니스 창출 지원에도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