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2012년부터 2년 동안 전국의 초·중·고(만 6~18세) 어린이·청소년 1,820명을 대상으로 체내 유해물질농도와 환경노출 등에 대한 조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어린이·청소년들의 중금속(납, 수은) 체내 농도가 미국과 캐나다에 비해 약간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어린이의 혈중 납 농도는 1.26 ㎍/dL, 청소년 1.11 ㎍/dL로 미국 어린이 0.98 ㎍/dL, 청소년 0.80 ㎍/dL과 캐나다 어린이 0.79 ㎍/dL, 청소년 0.71 ㎍/dL보다 다소 높았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건강상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밝힌 참고값은 10 ㎍/dL다. 그러나 최근 그 이하에서도 신경계나 신장손상, 학습장애 등 건강영향이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돼 지속적인 노출 저감 노력이 필요하다.
혈중 수은 농도는 우리나라 어린이와 청소년이 높게 나타났으나 일반적인 어린이·청소년이 노출될 수 있는 최고 농도(95백분위수)가 각각 3.95, 3.62 ㎍/L로 미국 환경보호청(EPA) 권고 기준인 5.8㎍/L보다 낮았다. 내분비계장애 추정물질 중 비스페놀 A의 요중 농도는 미국보다는 낮고 캐나다와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프탈레이트 대사체중 모노부틸프탈레이트(MnBP) 농도는 미국, 캐나다보다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어린이의 비스페놀 A와 프탈레이트 대사체(MEHHP와 MEOHP의 합)의 평균농도는 어린이의 HBM Ⅰ(각각 1,500 ㎍/L, 500 ㎍/L)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나 생식기계 발달과 내분비계 이상 등 건강이상과의 관련성이 크게 의심되고 있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비스페놀 A와 프탈레이트 대사체는 어린이가 청소년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손가락을 빨거나, 바닥에 앉아 노는 등 어린이의 행동특성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보건연구과 유승도 과장은 “올해 만 3세 이상의 미취학 아동(만 5세 이하)에 대한 조사와 병행해 환경유해인자의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심층 종합 분석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