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주 1회 이상 규칙적인 생활체육 참여율이 2012년 43.2%에서 2013년 45.5%로 2.3%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13년 11월부터 12월까지 전국 10세 이상 9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 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생활참여 참여율 지난해 45.5%
주 1회 이상 규칙적인 생활체육 참여율이 2012년 43.2%에서 2013년 45.5%로 2.3%p 증가했고 생활체육 미참여율은 2012년 51.8%에서 2013년 41.8%로 10.0%p 감소했다.
성별로 보면, 여성의 참여율이 2012년 40.0%에서 2013년 43.3%로 3.3%p 증가해 2012년 46.6%에서 47.8%로 1.2%p 늘어난 남성의 증가율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012년 39.6%에서 2013년 49.8%로 10.2%p 증가해 가장 많이 늘었다.
다만, 2012년 참여율이 가장 높았던 40대는 2012년 50.0%에서 45.9%로 4.1%p 감소했다. 10대, 20대, 70대가 평균 생활체육 참여율에 미치지 못하고 있고 10대 여학생은 2012년 25.3%에 이어 2013년 20.6%로 여전히 참여율이 가장 낮았다.
지역별 생활체육 참여율은 전남이 67.2%로 가장 높았고 제주 60.2%, 광주 57.8%, 인천 53.6%, 서울 50.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충남의 생활체육 참여율이 36.5%로 가장 낮고 가장 높은 지역인 전남과의 참여율 격차는 30.7%였다. 국민 1인당 생활체육에 투자하는 비용은 연 61만 3,416원으로 2012년 48만 9600원에 비해 25.2%p 증가했다.
체육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는 시간이 부족해서(61.1%)가 가장 많았다. 이어 관심이 없어서(52.4%), 건강상태가 좋지 못해(23.0%), 체육시설의 접근성이 떨어져서(22.3%) 순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 참여행태 ‘함께 참여’로 변화
생활체육동호인 수는 2013년 3백64만6,013명에서 올해 4백13만1,880명으로 13.3%p 증가했다. 2012년에는 친구, 가족, 동호회 회원들과 함께 참여하는 비율이 61.9%였으나 2013년에는 71.5%로 9.6%p 늘어 혼자서 참여하는 비율이 38.1%에서 28.5%로 감소했다.
집 주변에 조성된 체육시설은 학교체육시설(73.7%)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공공체육시설(69.6%), 민간 체육시설(46.6%), 각종 복지시설(21.9%) 순으로 나타났다. 집 주변에 조성된 체육시설 중 학교체육시설(43.6%)은 충분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또한 청소년 수련시설(45.9%), 직장체육시설(44.5%), 민간 비영리시설(29.8%)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문체부는 2013년 실태조사결과를 토대로 생활체육 참여율이 가장 낮은 10대 여학생들의 생활체육 참여율을 높일 수 있도록 치어리딩, 피구, 힙합·재즈, 요가, 피트니스 등 여학생들이 선호하는 특화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를 2013년 184개교에서 올해 850개교로 확대할 계획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생활체육 참여 형태가 혼자서 참여하는 형태에서 친구, 가족들과 함께 참여하는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다. 전 세대가 어울려 다양한 종목을 즐길 수 있는 종합형 스포츠클럽도 지난해 9개소에서 19개소로 확대하고 다세대가 한곳에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체육시설 공급 방식도 바꿀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