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그동안 폐기물 취급을 당해온 건설현장의 임목이 값비싼 조경수와 목재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산림청은 국토교통부, 환경부와 협력해 각종 건설공사로 훼손되는 산림에서 나오는 임목(연간 1,438천ton 규모)을 조경수, 원목자재, 재생에너지 등으로 재활용할 예정이다.
사회기반시설 건설공사로 훼손되는 산림에 있는 임목은 대부분(97%) 사업장 폐기물로 간주돼 폐기물업체에 위탁처리 된다. 이로 인해 폐기물처리 예산과 함께 산림자원이 낭비돼 왔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현장 임목폐기물처리 개선계획’을 마련하고 18일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산림청, 국토교통부, 환경부는 건설현장 임목 재활용 프로그램 운영에 서로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계획에 따르면, 공사 착수 전에 훼손대상 산림에서 우선 조경수를 선별해 이식하고 이용가치가 있는 원목자재를 골라낸다. 마지막으로 남은 것은 연료용 재생에너지 자원으로 사용하고 이마저도 이용이 어려운 것은 폐기물로 처리하게 된다.
산림청 관계자는 “건설현장의 임목재활용 프로그램이 제대로 가동되면 버려지는 임목의 80% 이상이 재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임목페기물 처리 개선으로 외국에서 수입되는 원목자재 등에 대한 수입대체 효과 1,715억원, CO2 등 온실가스 1,055천톤 저감 등 경제적, 환경적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