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심나래 기자] 울산과학기술대학교(UNIST)는 신소재공학부 권순용 교수와 주재환·곽진성 연구원 연구팀이 물리적 방법으로 산소와 탄소 비율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는 산화 그래핀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그래핀은 전도성이 뛰어나고 유연해 '꿈의 신소재'로 기대받는 물질이다.
기존 화학적 방법으로 형성된 산화 그래핀은 여러 개의 조각이 모인 형태로 산소와 탄소 비율 조절이 쉽지 않아 물리적 특성 조절이 어려웠다.
또 조각이 겹쳐진 부분에서 접촉저항이 발생해 그래핀의 전기적 성질을 저하했다.
연구팀은 일단 구리 내의 산소 농도를 열처리를 통해 미리 조절하고, 구리 내부의 결정입자 틈으로 탄소 원소를 확산하는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산소와 탄소 원자가 자발적으로 결합하도록 처리했다.
권순용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산화 그래핀은 광학적, 물리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어 광반도체와 반도체 소자에 적용이 가능하다"며 "산화 그래핀을 미세소자 분야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번 연구는 김영운 서울대 교수팀이 함께했으며,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UNIST 미래도전과제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