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국립환경과학원은 13, 14일 이틀간 제주 오리엔탈호텔에서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2단계 점검과 3단계 준비를 주제로 ‘제11회 수질오염총량관리 워크숍’을 개최한다. 이 워크숍은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정책 방향을 제시해 지자체가 제도에 쉽게 대응하도록 돕기 위한 목적으로 2004년부터 매년 개최됐다.
이번 워크숍에는 연구기관 및 학계 전문가, 총량관리계획 수립기관 관계자 등 약 5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수질오염총량관리제 2단계(2011~2015년)를 점검하고 3단계(2016~2020년)의 추진 방향에 관해 토론할 예정이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서울대학교 최지용 교수 등이 ‘수질오염총량제 정책현황 및 추진방향’, ‘3단계 목표수질 설정방향’, ‘유역기반 선진 총량관리제도 변화’에 관해 발표한다. 국내 현황과 선진국의 유역관리제도 시행착오 과정을 소개해 향후 3단계 제도의 정책 추진 방향을 제시할 계획이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명지대학교 이창희 교수 등이 ‘미국 TMDL 시행 사례 분석을 통한 소유역 단위의 총량관리 접근법’, ‘총량제 민간 참여사례 및 개선방향’, ‘유역모델 총량제 성공적 적용사례’에 관해 발표한다. 국외 적용 사례를 통해 제도 적용을 본류에 한정하지 않고 지류 유역관리로 확대하고 공공 주도의 총량관리에서 벗어나 민간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도 모색할 예정이다.
세 번째 세션은 국립환경과학원 신동석 연구관 등이 ‘단위유역 목표수질 평가 및 평가방법 선진화 방안’, ‘3대강 수계 2단계 중간점검 및 개선방향’, ‘삭감시설 효율적 운영사례 소개’에 관해 발표한 후 종합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국립환경과학원 김용석 수질총량연구과장은 “이번 워크숍에서는 하천별 오염 원인에 따라 다양한 대상물질로 관리할 수 있는 선진 유역관리제도의 국내 도입을 위해 관련 규정 마련과 본류 수질 개선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