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강영란 기자]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해 설립한 비수도권 문화예술교육사 양성기관(문화예술교육원)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요지는 "지역 대학은 수강생 부족으로 폐강 과목이 속출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정착을 위한 조언에 귀를 기울이지 않아 비수도권 문화예술교육원이 존폐의 위기에 놓였다"는 것이다.
특히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업무 위탁 기관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각 대학 문화예술교육원과 논의 과정 없이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개편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시행 1년 만에 교육과정을 바꾼다는 비난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부산대와 중부대, 한서대 등 비수도권 10개 대학의 문화예술교육원장으로 구성된 전국문화예술교육원장협의회는 24일 오전 대전역에서 긴급회의를 개최했다.
수도권에는 관련 학과 졸업생이 많아 수강생이 많고 자격증 취득 후 일자리도 많지만, 지방은 폐과와 수강생 이탈의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어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협의회는 이런 사정을 알리고 대책을 호소해도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실태 파악조차 하지 않고, 지역 교육원의 요구를 외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송영국 백제예술대학 문화예술교육원장은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원들이 문제점을 인식하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문화예술교육진흥원장 면담을 수차례 요청했지만, 묵살당했다"며 "제도의 정착을 위해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방 교육원장이 참여하는 논의 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문화예술교육사를 양성하더라도 '장롱 자격증'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소지자를 위한 일자리 대책이 없어 수강생 및 잠재적 수강생들의 불만이 높다는 설명이다.
전국문화예술교육원장협의회장을 맡은 정귀인 부산대 교수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소지자에 대한 일자리 대책이 없다 보니 수강생들이 외면하는 게 현실"이라며 "이대로 간다면 지역 문화예술교육원이 폐지될 것이고 이는 결국 지역 문화예술 진흥이라는 본래 정책 취지와도 어긋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