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조윤미 기자]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은 한국사는 고등학교 졸업자가 한국사에 대해 어느 정도의 소양을 갖추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사 기본 지식의 이해 정도와 역사적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시험이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017학년도 수능부터 필수로 치르게 되는 한국사 시험의 출제방향, 난이도, 문항유형, 예시문항 등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의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한 안내자료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지난해 ‘대입전형 간소화 및 대입제도 발전방안’에서 한국사 교육 강화를 위해 한국사를 2017학년도부터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하고, 학생들의 수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쉽게 출제하는 동시에 절대평가를 도입한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안내자료를 보면, 2017학년도 한국사 시험은 고등학교 졸업자로서 갖추어야 할 한국사 기본 지식의 이해 정도와 역사적 사고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또한 수능 필수과목 지정에 따라 모든 학생들이 수능 한국사 시험에 응시해야 한다.
이에 따라 상위권 학생의 변별을 위해 고난도 문항을 일부 출제하던 종래의 방식에서 벗어나 모든 문항을 핵심적이고 중요한 내용 중심으로 쉽게 출제한다. 또한 학교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수한 학생은 높은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절대평가를 도입한다. 시험 출제는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부터 적용되는 한국사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근거해 이루어진다.
안내 자료에는 10가지 문항유형에 따른 12개의 예시문항이 제시돼 있다. 10가지 문항유형은 학생들이 한국사 학습을 통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 알기, 역사에서 중요한 용어나 개념 이해하기, 역사적 사건의 흐름파악기, 역사적 상화 인식하기 등이다.
1.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 알기 2. 역사에서 중요한 용어나 개념 이해하기 3. 역사적 사건의 흐름 파악하기 4. 역사적 상황 인식하기 5. 역사적 시대 상황 비교하기 6. 역사 탐구에 적합한 방법을 찾아 탐구 활동 수행하기 7. 역사 자료에 담긴 핵심 내용 분석하기 8. 자료 분석을 통해 역사적 사실 추론하기 9. 역사 자료를 토대로 개연성 있는 상황 상상하기 10. 역사 속에 나타난 주장이나 행위의 적절성 판단하기 |
<예시문항. 다음 만화의 내용과 관련이 깊은 것은?>
교육부 관계자는 “시·도교육청별 역사 담당 교사 연수 등을 실시해 교사들이 새로운 수능 출제방향에 맞추어 수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법의 한국사 수업을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며 “학생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는 한국사 수업을 통해 우리 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기르고 별도의 사교육 없이 시험을 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