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 정부서울청사합동브리핑에서"청년고용대책으로 청년 일자리 50만개 창출이라는 목표 달성에 다가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일을 원하는 사람에게 일자리를 만들어 주고 일자리를 얻기 위한 역량을 갖추도록 하는게 진정한 복지"라면서 "청년들이 졸업 후 이른 시일 안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현 부총리는 "3월 15∼29세 청년고용률이 39.5%인데 30대에선 73%로 굉장히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면서 "청년고용 문제는 단기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청년고용률이 50% 정도"라면서 "2017년까지 고용률 70%를 달성하면서 청년고용률도 거기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한국형 직업학교를 도입하고 청년들에게 직접 찾아가는 취업정보화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했다고 소개했다.
학교 전공교육에서 현장실습이 제대로 이뤄지고 취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학교-청년-기업 간 대화의 통로도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는 "청년고용을 적극 창출하는 기업에는 세무·관세조사를 면제해주고 조달시장에 참여할 때 가산점을 주는 등 각종 우대혜택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취업자들의 경력 관리를 위해선 "청년희망키움통장의 관련 법령을 개정하고 출퇴근 및 문화시설을 개선해 청년들이 중소기업에 머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입대 이전과 입대기간, 제대 이후 등 단계별로 경력단절을 방지하겠다"면서 "육군에서 시범 시행하는 맞춤특기병제를 해군, 공군까지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대책에 따른 고용률 상승효과에 대해선 즉답을 피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