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유예림 기자] 교육부, 미래창조과학부, 고용노동부는 SW분야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해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등 2개 사업주단체, 삼성 SDS·LG CNS 등 11개 대·중견기업, SW 분야 특성화고·마이스터고·전문대학 및 유관기관과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를 위해 10일 한국 소프트웨어기술진흥협회(판교테크노밸리 소재)에서 ‘SW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NCS(National Comptency Standards)는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한 것. 이번 협약을 통해 SW 산업계는 현장의 일을 정확히 반영한 NCS가 개발될 수 있도록 NCS 개발·보완과정에 적극 참여한다.
또한 산업현장에 필요한 직무수행능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NCS 기반 자격제도, 평가도구를 개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양성·배출된 인력을 적극적으로 채용하고 이들이 유사·동등 수준의 학력 취득자와 비교해 동등한 처우를 받을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가기로 했다.
아울러 학력 이외에도 SW분야에 대한 교육, 훈련, 자격이나 실제 현장에 종사한 경험 등을 인정해 줄 수 있는 기준(국가역량체계)를 개발해 이를 인력 채용, 인사관리 시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특성화고, 전문대학 등은 산업계의 수요를 반영한 NCS를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현장 중심으로 개편해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SW분야 전문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교육부, 미래부, 고용부는 산업계 및 학교가 능력중심으로 인재를 양성하고 채용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과 함께 관련 규정이나 기준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유관기관은 사업주단체, 업무협약 참여기업 및 학교가 동 협약의 내용을 이행하는데 필요한 기술지원에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
서남수 교육부 장관은 “능력중심사회 기반 구축을 위한 정책 성공의 핵심 열쇠는 산업계, 교육계 등 사회 구성원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에 있다”며 “SW 분야에서 학벌이나 스펙이 아닌 능력 중심의 인재 채용, 인사관리 문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산업계, 교육계의 적극적인 협력을 요청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