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심나래 기자] 건축물 설계는 주거자의 편의뿐만 아니라 주변 경관, 지역 특색 등 다양한 요소들이 반영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디자인만 강조할 경우, 다른 요소들을 놓쳐 결국엔 해당 건축물의 가치마저 떨어뜨릴 수 있다.
국토교통부가 주최한 ‘2013 대한민국 신인건축사 대상’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던 (주)리슈건축사사무소(www.richue.com) 홍만식 소장은 설계단계부터 ‘디자인’과 ‘기획’을 함께 고려, 건축물의 가치를 드높이는 건축가로 명성을 쌓고 있다.
홍 소장은 “미리 짜놓은 각본(기획)에 맞춰서 디자이너를 움직이려 한다면 창의성이 결여되고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쉽지 않다”며 “반대로 디자인에 맞춰 기획한다면 건축 과정에 예기치 못한 다수의 돌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과 기획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고 정의했다.
즉 ‘기획과 디자인을 모두 충족시키는 건축물 설계’로 클라이언트(건축주)의 요구에 부응함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반영하듯 경기도 가평에 공사 중인 '아침고요마을(www.achimgoyo.com)´은 ‘기획과 디자인’을 모두 충족시킨 좋은 본보기로서 경사진 지형적 단점을 조망권 확보의 특장점으로 승화시키고, 디자인에 유럽형 스타일의 이국적 외부구조를 적용해 완공이 기다려지는 작품이다.
특히 아침고요마을은 가평 일대의 수려한 자연환경과 레저·휴양문화 등의 지역적 특색을 살린 ‘명품 전원주택마을’로 탈바꿈이 기대되며, 주변 자연경관이 가진 아름다움을 마을 사람들이 균등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점이 돋보인다.
앞에 건물이 들어서도 조망권을 해치지 않도록 설계한 덕분에 주민들의 휴식수준을 업그레이드 시키고, 넉넉한 자연의 공간과 짜임새 있는 내부 공간의 보호 속에서 자유와 사유를 넘나들 수 있는 재미를 뒀다.
여기에는 홍소장이 ‘기획과 디자인’ 만큼 중요하게 여기는 ‘공동의 요소’가 가미돼 있으며, 최근의 건축물들이 통일성 없이 혼잡스럽게 들어서 있는 것에 대한 일침의 목소리가 섞여 있다.
일례로 그가 설계한 인천 송도의 <커넬큐브>는 공동의 요소가 잘 스며든 건축물로 평가받고 있는데, 단순히 기능만을 담은 구조물로서가 아니라 직·간접적으로 누구나 방문하게 되는 공동장소로서의 가치를 건축물에 내재해 공간자체가 하나의 친화력을 띄고 있다.
요컨대 우리가 길을 걷다가 ‘저 건물 멋있다’라며 한동안 시선을 빼앗기듯이 이제는 건축물이 누구나 공감하고, 클라이언트·디자이너·방문객 등 모든 사람이 만족하는 건물이어야 한다는 것이 홍 소장의 소신이다.
이런 그는 ‘리슈하임(http://blog.naver.com/richuehong)´이란 ‘집짓기 모임 블로그’도 운영하며, 클라이언트와 일반 소비자 등의 니즈를 파악하고 기대를 충족시키는 일에 가까이 다가서기 위한 정성을 쏟고 있다.
건축물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을 ‘개개인이 삶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바람직한 과정’이라고 인식하는 홍 소장이기에 ‘건축물 설계의 기획과 디자인’을 주제로 현·예비 클라이언트들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공동의 가치가 극대화된 건축물을 구현하는데 적극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홍 소장은 “많은 사람들이 행복해 할 수 있는 건축물을 짓고 싶다”며 “좋은 작품들을 많이 연구해 우리가 잠시 잊어버린 행복을 건축물에 담아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주)리슈건축사사무소 홍만식 소장은 맞춤형 생활공간 조성과 수준 높은 주거문화 창출에 헌신하고 건축산업의 경쟁력 강화 선도에 기여한 공로로 ‘2014 대한민국 능률혁신 대상, 건축인 大賞(시사투데이 주최·주관)’을 수상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