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시대의 흐름을 타고 급변하는 교육산업, 시대에 걸맞은 교육 콘텐츠 개발은 국내 교육산업의 발전을 견인하는 핵심요소 중 하나가 되고 있다. 그 중 수학교육은 문·이과를 막론하고 대학진학을 결정짓는 중요한 과목이자, 잘하고 못하고가 확실히 갈리는 과목인 만큼 학생 누구나 선입견을 떨치고 수학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콘텐츠 개발이 절실하다.
‘강의와 집필을 겸하는 선생님들의 집합소’, 자유자재학원(원장 박중희)은 끊임없는 수학 콘텐츠 개발을 토대로 중계동 학원가에서 ‘믿음을 주는 학원’으로 자리매김했다.
실력으로 승부하는 학원이라 굳이 제 입으로 떠들지 않아도 학부모와 학생이 먼저 알아준 이 학원은 수능에 최적화된 자체교재를 통해 제대로 된 수학교육을 제공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일찍이 자기주도학습만화 ‘셀파수학’과 수학기본서 ‘아르케수학’ 등의 집필자로 잘 알려진 박중희 원장은 뜻있는 집필진들과 함께 직접 개발한 문제를 교재에 수록, 학생들의 학습패턴을 고려한 수능 맞춤형 교재를 내놓았다.
교육현장에서 접한 수학적 오류 등을 수정·보완하고, 수능수학의 출제원리 등을 분석해 집필한 이 교재는 대학교에서나 배울법한 수학적 이론을 담고 있어 눈길을 끈다. 쉽게 말해 수능 출제유형을 분석하고 문제의 구성원리를 수능출제위원인 대학교수의 눈높이에서 풀이하고 있는데, 문제출제원리를 이해하고 문제의 구성원리와 심화이론을 해당 이론에 대입해 풀이하다 보면 ‘수학=익힘과목’이란 말처럼 어떤 문제든 풀 수 있다는 박 원장의 의도가 베여있는 것이다.
이런 박 원장은 강사채용에 엄격한 기준을 갖고 있으며, ‘학생을 가르치는 선생님이 1등급이 아니면 1등급 학생을 만들지 못한다’는 생각으로 실력과 성실함을 갖춘 강사를 우선 선발하고 있다.
또 ‘알면서 틀린 문제’, ‘알고 맞춘 문제’, ‘몰라서 틀린 문제’, ‘몰랐지만 맞춘 문제’ 등 학생들의 문제풀이 유형을 분석하여 취약문항을 극복하고 패턴별로 공부할 수 있는 환경조성에 힘썼다.
맞춤수업을 할 때에도 학생들의 수준이 낮다고 눈높이에 맞춘 쉬운 문제들 위주로 반복수업을 하는 것이 아닌, 수능 난이도에 맞춘 학습단원 내에서 상하위권 학생 모두 점수를 낼 수 있는 커리큘럼을 구축하고 있다.
박 원장은 “학원경영에 있어서 가장 무서운 것은 대형학원과의 경쟁이 아니라, 더 이상 발전할 길이 없다는 것”이라며 “외형을 키우기 보단 교육의 흐름을 읽고, 시대가 요구하는 컨텐츠 개발을 통해 수학교육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뜻을 피력했다.
한편 자유자재학원 박중희 원장은 양질의 수학학습 콘텐츠 개발과 맞춤형 수학교재 집필에 끊임없이 헌신하고 학생들의 수학실력 향상 및 사교육의 건전한 발전 선도에 기여한 공로로 '2014 대한민국 신지식경영 대상(시사투데이 주최·주관)'을 수상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