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우리나라 청년층의 고등학교 이상 이수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등교육을 이수한 여성의 고용률은 OECD 평균보다 낮았다. OECD는 9일 2014년 OECD 교육지표(Education At a Glance)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우선 25∼34세 청년층의 고등학교 이수율(98%) 및 고등교육 이수율(66%)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고등학교 이수율은 2001년부터, 고등교육 이수율은 2007년부터 1위를 유지하고 있다.
25~64세 성인의 고등학교 이수율(82%)과 고등교육 이수율(42%)도 OECD 평균(고등학교 75%, 고등교육 32%)보다 높았다. 고등학교 완수율은 95%로 OECD 국가 중 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고용률은 모든 교육단계에서 OECD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고등학교 이상 이수한 여성의 고용률은 OECD 평균보다 낮았다. 고등학교 졸업자와 고등교육 졸업자와의 상대적 임금 격차는 OECD 평균보다 작고 교육단계 상승에 따른 임금 증가 효과는 남성보다 여성이 더 컸다.
우리나라 연령별 취학률과 고등교육 입학률도 OECD 평균보다 높았다. 연령별 취학률은 2세 이하 37%, 3~4세 86%, 5~14세 99%, 15~19세 87%, 20~29세 31%로 30세 미만의 취학률이 OECD 평균보다 높았다. 유치원, 어린이집의 유아교육단계 연령별 취학률(만3세 85%, 만4세 87%, 만5세 88%)도 모든 연령에서 OECD 평균(만3세 70%, 만4세 82%, 만5세 81%)보다 높았다.
고등교육 입학률은 전문대학 36%로 OECD 평균(18%)의 2배, 대학(석사과정 포함)은 69%로 OECD 평균(58%)보다 11%p 높았다. 고등교육기관에 재학하고 있는 외국인학생 비율은 2%로 전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OECD 평균(8%)보다 낮았다. 그러나 2005년 대비 외국인학생 비율은 약 4배로 커져 OECD 평균보다 많이 증가했다.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18.4명, 중학교 18.1명, 고등학교 15.4명으로 OECD 평균(초 15.3명, 중 13.5명, 고 13.8명)보다 많았으나 전년대비 모든 교육단계에서 감소(초 1.2명, 중 0.7명, 고 0.4명)했다.
교사 1인당 학생수는 꾸준히 개선돼 2005년 대비 초등학교 9.6명, 중학교 2.7명, 고등학교 0.6명이 감소했다. 학급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25.2명, 중학교 33.4명으로 OECD 평균(초 21.3명, 중 23.5명)보다 많으나 전년보다 감소(초 1.1명, 중 0.6명)했다. 학급당 학생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2005년 대비 초등학교 7.4명, 중학교 2.3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가 가장 많이 분포한 연령대는 30~39세(38%)로 OECD 평균(30-39세, 40-49세 각각 28%)보다 젊고 50세 이상 교사의 비율(초 16%, 중 21%, 고 26%)도 OECD 평균(초 30%, 중 34%, 고 38%)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결과는 OECD 홈페이지(www.oecd.org)에 탑재될 예정이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OECD 교육지표 번역본을 12월중 발간하고 교육통계서비스 홈페이지(http://kess.kedi.re.kr)에도 탑재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